-
1.
- 그룹 홈(Group home)에 대한 정신지체 특수학교 학부모의 인식 및 욕구 조사 = (A)Study on the perception and needs of parents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for group home
- 강진운, 부산대학교, [2001]
-
2.
- 정신지체 특수학교 체육과 운영실태 및 체육담당교사의 인식 = Special school physical education and recognition of the operation status and physical education teacher in charge of mental retardation
- 배상욱, 부산대학교 대학원, [2015]
-
3.
- 중학교 통합학급교사의 장애학생 수행평가 실태와 인식 = The actual state and recogni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implemented by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of middle school
- 이소연, 부산대학교 대학원, [2015]
-
4.
-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영향요인 = Early childhood teacher's efficacy and influential factors in inclusive education for disabled preschooers
- 이혜민, 부산대학교 대학원, [2015]
-
5.
-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경도장애학생의 자기결정능력과의 관계 = The relationship among parental autonomy support and self-determination ability of students with mild disabilities
- 박정아, 부산대학교 대학원, [2015]
-
6.
- 경도장애학생의 부모 및 또래 애착과 우울 간의 관계
- 양금화, 부산대학교, [2015]
-
7.
- 다중요소중재를 활용한 직업교육이 지적장애학생의 사무보조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= The Effect of Vocational Education Using Multiple Components Intervention on Clerical Assistant Work Skill Training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
- 장서원, 부산대학교 대학원, [2016]
-
8.
-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업무수행에 대한 특수학급교사와 순회교사의 인식 비교
- 김희진, 부산대학교, [2015]
-
9.
- 다중요소중재를 활용한 직업재활훈련이 지적장애학생의 세차직무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
- 김희주, 부산대학교, [2015]
-
10.
- 지적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도덕적 판단능력 비교연구 = (A) comparative study on the moral judgment ability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ith normal students
- 김진윤,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4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