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『朝鮮上古史』를 통해 본 신채호의 고구려사 연구 방법과 인식에 대한 연구
- 조선옥, 단국대학교 대학원, [2019]
-
2.
- 民世 安在鴻의 歷史認識 : "朝鮮上古史鑑"을 중심으로 = (A) view of history of Ann Jae-hong
- 조옥영,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, [1988]
-
3.
- 申采浩의 箕子·箕子朝鮮 인식
- 최혜민, 경희대학교 대학원, [2016]
-
4.
- 일제의 한국사 왜곡이 국사교과서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: 『조선사(1938)』의 역사지리 비정에 대한 몇 가지 사례를 중심으로
- 이인철,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, [2012]
-
5.
- 조선 17세기 私印 연구
- 김양균,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, [2024]
-
6.
- 광복 이후 초·중학교 국사교과서의 '단군조선사' 분야 개정 과정 및 개정 방향 연구 = A study on the revision process and the revision direction of 'DahnGunJoSun history' area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' Korean history textbooks after the liberation
- 장지화,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, [2019]
-
7.
- 權悳奎의 『朝鮮史』에 나타난 한국사 인식 = Gwon, Deok-Gew understanding on Korean history on the his book, Chosunsa
- 정민지,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, [2012]
-
8.
- 조선조 역사서의 평가를 위한 비교 연구 : 『東國通鑑』,『東史綱目』, 『海東繹史』를 중심으로 = (A) Comparative study of Chosun Dynasty's history books : Focusing on Dongguktonggam(東國通鑑), Dongsagangmok(東史綱目), Haedongyeoksa(海東繹史)
- 최보람,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[2003]
-
9.
- 조선시대 전기의 의료제도에 대한 연구
- 한대희, 경산대학교, [1996]
-
10.
- 申采浩의 歷史意識에 관한 硏究 : 古代史 認識을 中心으로 = (A) study on the consciousness about history in Sin Chae-ho : Concentrated on recognition of Ancient history
- 김형수, 全南大學校 敎育大學院, [1995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