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사랑의 실패들: 한무숙 소설의 인물에 대한 심리학적 일고찰
-
정은경;
중앙대학교;
(국어문학,
v.68,
2018,
pp.153-187)
-
2
-
A Study on Nationalism and Gender in Han Mu-suk’s novel. And So Flows History
-
Kim, Hyun-ju;
;
(여성문학연구 =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,
v.46,
2019,
pp.39-66)
-
3
-
사랑의 실패들: 한무숙 소설의 인물에 대한 심리학적 일고찰
-
정은경;
중앙대학교;
(국어문학,
v.68,
2018,
pp.153-187)
-
4
-
‘규수작가’의 타협과 배반 - 한무숙과 강신재의 50~60년대 작품을 중심으로
-
박정애;
;
(語文學 : 한국어문학회 =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93,
2006,
pp.471-498)
-
5
-
한무숙 소설에 나타난 병리적 징후와 여성주체 - 1950~60년대 단편소설을 중심으로
-
임은희;
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 = Korean literary theory and criticism,
v.13,
2009,
pp.389-420)
-
6
-
한무숙 소설 『역사는 흐른다』에 나타난 내셔널리즘과 젠더
-
김현주;
한양대학교;
(여성문학연구,
v.0,
2019,
pp.39-66)
-
7
-
한무숙 소설 『역사는 흐른다』에 나타난 내셔널리즘과 젠더
-
김현주;
;
(여성문학연구,
v.0,
2019,
pp.39-66)
-
8
-
한무숙 소설에 나타난 근대적 여성인물의 성격 고찰
-
김종회;
경희대학교;
(현대문학이론연구,
v.0,
2003,
pp.2-39)
-
9
-
The meaning of ‘home’ as the intersection of space, place, and gender -in Han Mu-suk’s novel, SeokRyuNaMuJip IYaGi(The Story of Pomegranate Tree House)
-
Kim, Young-mi;
;
(春園硏究學報 = Journal of Kwangsoo Lee research,
v.22,
2021,
pp.239-261)
-
10
-
공간과 장소, 젠더의 교차점으로서 ‘집’의 의미-한무숙의 『석류나무집 이야기』를 중심으로
-
김영미;
홍익대학교;
(춘원연구학보,
v.0,
2021,
pp.239-26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