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황장엽ㆍ이신철의 『논리학』서평 - 황장엽ㆍ이신철의 『논리학』을 읽고
-
김석수;
;
(동서사상,
v.9,
2010,
pp.335-342)
-
2
-
철학자 황장엽과의 대담
-
김원식;
(사)국가안보전략연구소;
(사회와 철학,
v.0,
2004,
pp.153-175)
-
3
-
[북리뷰]인류의 마지막전쟁 과연 정당한가(황장엽 지음,『세계민주화와 인류의 마지막전쟁』(시대정신, 2002))
-
이정철;
;
(統一問題硏究 = The Korean journal of unification affairs,
v.14,
2002,
pp.338-339)
-
4
-
[북리뷰]봉건사회 하의 김정일체제 비판(황장엽 회고록, 『나는 역사의 진리를 보았다』(서울: 한울, 1999)
-
이주철;
;
(統一問題硏究 = The Korean journal of unification affairs,
v.11,
1999,
pp.198-199)
-
5
-
철학자 황장엽과의 대담
-
김원식;
사국가안보전략연구소;
(사회와 철학,
v.0,
2004,
pp.153-175)
-
6
-
하버마스의 비판적 사회이론과 황장엽의 인간중심철학 - 일원론적 역사유물론의 극복 시도로서의 두 ‘다원론적 실천철학 체계’에 대한 비교 검토
-
선우현;
;
(사회와 철학 = Social philosophy,
v.2010,
2010,
pp.265-312)
-
7
-
황장엽의 ‘통일한국’ 구상에 대한 기독교적 응답
-
김회권;
숭실대학교;
(신학사상,
v.0,
2017,
pp.63-114)
-
8
-
박종홍과 황장엽 그리고 다나베 하지메, 민족/국가로 녹아든 개인: 한반도 근대국가의 주체상
-
한승완;
이혜경;
국가안보전략연구원;
서울대학교;
(사회와 철학,
v.0,
2021,
pp.131-154)
-
9
-
철학자 황장엽과의 대담 - 인간중심철학의 민주주의론을 중심으로
-
김원식;
;
(사회와 철학 = Social philosophy,
v.2004,
2004,
pp.153-175)
-
10
-
하버마스의 비판적 사회이론과 황장엽의 인간중심철학 - 일원론적 역사유물론의 극복 시도로서의 두 ‘다원론적 실천철학 체계’에 대한 비교 검토 -
-
선우현;
청주교육대학교;
(사회와 철학,
v.0,
2010,
pp.265-31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