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기행다큐멘터리 제작 경향에 관한 연구 : TJB <화첩기행>을 중심으로
- 전영식
-
목원대학교 언론광고홍보대학원, 국내석사,
70 p., 2012
-
2
-
豹菴 姜世晃의 《松都紀行帖》硏究 - 제작경위와 화첩의 순서를 중심으로
-
金建利;
;
(美術史學硏究 = Korean journal of art history,
v.237,
2003,
pp.183-211)
-
3.
- 豹菴 의 《松都紀行帖》硏究
- 金健利
-
이화여자대학교, 국내석사,
iv, 129 p., 2001
-
4.
- 19세기 金剛山圖 硏究
- 이영수
-
명지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xiii, 208 p., 2016
-
5
-
1788년 김응환의 봉명사경과 《해악전도첩(海嶽全圖帖)》
-
오다연;
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;
(美術資料,
v.96,
2019,
pp.54-88)
-
6.
- 근대 한국의 紀行寫生畵연구 : 1930년대『동아일보』연재 삽화를 중심으로
- 박희연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ii, 154 p., 2010
-
7
-
姜世晃의 燕行活動과 繪畵 - 甲辰燕行詩畵帖을 중심으로
-
정은주;
;
(美術史學硏究 = Korean journal of art history,
v.259,
2008,
pp.41-78)
-
8
-
圭南 河百源의 海遊詩畵帖 고찰
-
李英淑;
;
(文化史學 = Journal of Korean cultural history,
v.2007,
2007,
pp.1041-1070)
-
9.
- 조선시대 총석정도의 제작 목적과 장황 유형 연구
- 박지해
-
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, 2024
-
10
-
규남 하백원의 '해유시화(海遊詩畵)' 연구
-
명평자;
충남대학교;
(한문학논집(漢文學論集),
v.52,
2019,
pp.191-23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