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A Study on the Print Poetry Collection 'May Poetry Print Anthology'
-
Park, Dongeok;
;
(한국문학과예술 = The Korean literature and arts,
v.53,
2025,
pp.293-319)
-
2
-
『五月詩 版畫集』의 판화시 연구
-
박동억;
숭실대학교;
(한국문학과 예술,
v.0,
2025,
pp.293-319)
-
3
-
북한 회화에서 아동 이미지의 양태와 이데올로기적 함의 : 화집 『오늘의 조선화』(1980)를 중심으로
-
홍지석;
단국대학교;
(미학예술학연구,
v.32,
2010,
pp.373-402)
-
4
-
북한 회화에서 아동 이미지의 양태와 이데올로기적 함의 : 화집 『오늘의 조선화』(1980)를 중심으로
-
홍지석;
단국대학교;
(미학예술학연구,
v.32,
2010,
pp.373-402)
-
5
-
1920~40년대 만주지역 사진자료의 분석 - 『아동인화집(亞東印畵集)』과 『아세아대관(亞細亞大觀)』을 중심으로
-
주성지;
동북아역사재단;
(한국민족운동사연구,
v.0,
2023,
pp.123-173)
-
6
-
A Analysis Study of Photographic Materials about Manchuria in the 1920s~40s : Focusing on Atoingashu(『亞東印畵集』) and Ajiataikan(『亞細亞大觀』)
-
Joo, Sung-jee;
;
(한국민족운동사연구,
v.114,
2023,
pp.123-173)
-
7.
- 안젤름 키퍼(Anselm Kiefer)의 歷史批判繪畵에 관한 연구 : 作品聯作을 中心으로
- 賈俊澔
-
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50 p, 2001
-
8
-
1930년대, 서정주의 시와 화단(畵壇)의 관련성 연구 ― 여성 이미지를 중심으로
-
김진희;
이화여자대학교;
(비교문학,
v.0,
2006,
pp.81-102)
-
9
-
『금병매화집』의 인물 형상 표현 연구
-
강현실;
유한대학교;
(중국학,
v.0,
2021,
pp.31-50)
-
10.
- 極微 해석을 통해 본 世親 철학의 轉移
- 이규완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254, 201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