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홍유손의 양생사상 연구
-
표보영;
안상우;
한국한의학연구원;
한국한의학연구원;
(대한예방한의학회지 =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,
v.12,
2008,
pp.199-211)
-
2.
- 소총 홍유손의 시세계 : 도교적 성향과 신분의식을 중심으로
- 표보영
-
충남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, 2006
-
3.
- 조선시대 문인의 양생수련과 시적 형상화 연구 -조선 중기 이전을 중심으로-
- 시아청윈
-
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142 p., 2019
-
4.
- 梅月堂 金時習에 대한 기억서사의 시대적 전개와 그 층위
- 강창규
-
부산대학교, 국내박사,
204, 2022
-
5
-
점필재 문인들의 교유 및 차생활 고찰
-
김유미;
이병인;
최송현;
부산대학교 대학원 국제차산업문화전공;
부산대학교;
부산대학교;
(차문화산업학,
v.64,
2024,
pp.31-60)
-
6.
- 白湖 林悌의 方外詩 硏究
- 임나용
-
公州大學校 敎育大學院, 국내석사,
[1], 49장., 2012
-
7
-
韓國仙道에서의 女神仙의 系譜와 位相 : 조선시대의 선도자료를 중심으로
-
임채우;
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;
(동서철학연구,
v.0,
2014,
pp.81-110)
-
8
-
慶尙右道 士林派와 선비의 본고장 함양의 얼─ 一蠹 鄭汝昌과 그 후예 및 書院을 중심으로 ─
-
권인호;
대진대학교;
(유교사상문화연구,
v.0,
2014,
pp.7-38)
-
9
-
김시습(金時習) 이해의 시선과 그 의미
-
Chun, Sung-woon;
;
(우리 文學 硏究 = 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,
v.40,
2013,
pp.201-234)
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