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낭만적 아이러니와 탐정소설의 상관성.에.테.아.호프만의 『스퀴데리 부인』
-
서요성;
;
(人文科學硏究 : 대구대학교 人文科學硏究所 = The journal of the humanities,
v.33,
2009,
pp.161-179)
-
2
-
에.테.아. 호프만 작품의 이중적 서술구조
-
권진숙;
한미영;
;
(독일어문학,
v.10,
2002,
pp.379-404)
-
3
-
에 테 아 호프만의 우연 우연놀이 그리고 놀이로서의 글쓰기
-
김성현;
연세대학교;
(독일어문학,
v.31,
2023,
pp.47-74)
-
4
-
에. 테. 아. 호프만의 『모래사나이』에 있어 현실과 현실 인지의 문제
-
권혁준;
;
(카프카연구,
v.17,
2007,
pp.35-56)
-
5
-
에.테.아.호프만이 괴테와 벌이는 상호텍스트적 유희
-
슈타이네케;
Univ. Paderborn;
(괴테연구,
v.0,
2005,
pp.119-136)
-
6
-
에.테.아. 호프만의 『악마의 묘약』에 나타난 책 모티브와 매체 전략
-
유봉근;
;
(카프카연구,
v.21,
2009,
pp.415-433)
-
7
-
범죄소설과 에.테.아. 호프만의 『스퀴데리 양』
-
권진숙;
;
(독일어문학,
v.16,
2008,
pp.37-55)
-
8.
- '동일성'의 문학적 전복 : 에.테.아. 호프만 문학을 중심으로
- 정윤희
-
연세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, 189p., 2001
-
9
-
인간과 기계- 에.테.아. 호프만의 문학작품에 나타난 기계인간 모티브 연구
-
천현순;
이화여자대학교;
(독어독문학,
v.53,
2012,
pp.223-247)
-
10
-
에.테.아. 호프만의 <사촌의 구석 창문>(1822)에 나타난 내면 통찰로서의 외부 조망
-
최민숙;
이화여자대학교;
(괴테연구,
v.0,
2013,
pp.161-18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