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한국 현대문학의 지식 체계화 과정 연구 - <문예창작강좌>와 <세계문예강좌>를 중심으로
-
이미정;
강원대학교;
(문화와 융합 = Culture and convergence,
v.40,
2018,
pp.369-400)
-
2.
- 1950년대 문학장의 재형성과 『현대문학』지 연구
- 조은정
-
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142 p., 2009
-
3
-
한국 현대문학의 지식 체계화 과정 연구 - ⟨문예창작강좌⟩와 ⟨세계문예강좌⟩를 중심으로
-
이미정;
강원대학교 강원문화연구소;
(문화와융합,
v.40,
2018,
pp.369-400)
-
4
-
근대문단 형성기 작고 작가 애도문(哀悼文) 연구 - 한국근대작가론의 형성 과정과 관련하여 -
-
;
;
(현대소설연구,
v.0,
2016,
pp.205-249)
-
5
-
한국 현대문학 연구와 『민족문화연구』—『민족문화연구』를 통해 본 한국 현대문학 연구의 동향—
-
이만영;
전북대학교;
(민족문화연구,
v.0,
2023,
pp.69-92)
-
6
-
주체성 기반의 문학논리 구성과 비평적 실천
-
강소연;
;
(韓民族語文學 = Hanminjok Emunhak,
v.51,
2007,
pp.583-612)
-
7.
- Системно-суБъектный метод б. О. Кормана : теория автора
- 이희원
-
Моск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ени М. В. Ломоносова, 국외박사,
187 p., 2000
-
8
-
구상 시에 나타난 가톨리시즘적 일원론
-
김재홍;
국민대학교 한국어문학부;
(한국문예비평연구,
v.0,
2024,
pp.129-166)
-
9.
- '許生傳'의 敎育的 受容에 관한 硏究
- 유민정
-
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vii, 87p., 1991
-
10
-
남정현 소설의 성 - 여성과 윤리, 그리고 반공주의
-
임경순;
;
(상허학보 =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21,
2007,
pp.71-10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