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노(能)의 대중화와 곤파루 젠포(金春禅鳳)
-
이진호;
원광대학교;
(日本文化學報,
v.0,
2012,
pp.163-184)
-
2
-
서주(西洲) 김사진(金思鎭)의 한시에 나타난 중국 체험의 시적 정취-「요행일기(遼行日記)」를 중심으로-
-
한길로;
吉林大學;
(동아시아문화연구,
v.0,
2022,
pp.40-62)
-
3
-
오가이(鴎外)의『청년(青年)』론-「현대사회」에의 환멸-
-
윤혜영;
충남대학교;
(日本學硏究,
v.26,
2009,
pp.245-265)
-
4
-
Le bonheur différé — Un rapprochement entre Alain-Fournier et André Gide —
-
이재욱;
경희대학교;
(불어불문학연구,
v.0,
2012,
pp.257-284)
-
5.
- 한국에 있어서 일류(日流) 드라마의 변용과 수용에 관한 연구 -드라마『꽃보다 남자』를 중심으로-
- 김진영
-
울산대학교, 국내석사,
, 2009
-
6.
- 淸陰 金尙憲의「南槎錄」硏究
- 李祥順
-
忠南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ii, 98 p., 2005
-
7
-
玉洞 文益成의 생애와 시세계 - 관직 생활과 관련된 시를 중심으로-
-
조창록;
성균관대학교;
(南冥學硏究,
v.0,
2008,
pp.77-97)
-
8.
- 이문열의 자전적 소설 연구
- 홍영희
-
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, 국내석사,
i, 110 p., 2013
-
9
-
일본 고전문학 교육의 변천 및 학습지도 현황-중학교 국어교육을 중심으로
-
남이숙;
군산대학교;
(고전문학과 교육,
v.0,
2013,
pp.147-179)
-
10
-
雨夜の逢引 ―平安朝の恋愛文化という側面から―
-
도기홍;
한남대학교;
(日本文化學報,
v.0,
2010,
pp.291-30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