검색어 : 통합검색[한양대학교. 비교역사문화연구소]
-
1
-
백족(白族)과 '백만(白蠻)' - 『백족간사(白族簡史)』의 백족 계보 구성 비판
-
鄭勉;
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;
(동북아문화연구 = Journal of north-east asian cultures,
v.33,
2012,
pp.23-49)
-
2
-
조선인민군의 군의(軍醫)체계 형성과 군의장교
-
김선호;
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;
(醫史學 : 大韓醫史學會誌,
v.26,
2017,
pp.379-416)
-
3
-
누구/무엇을 위한 '친권(親權)'인가: 식민지시기 '친권'의 법제화와 가족 정치학
-
홍양희;
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;
(한국여성학= Journal of Korean women's studies,
v.33,
2017,
pp.239-265)
-
4
-
퀴어와 페미니즘, 그 “험한 세상의 다리가 되어”(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 젠더연구팀 기획/홍양희 엮음, 『‘성聖/性’스러운 국민 – 젠더와 섹슈얼리티를 둘러싼 근대 국가의 법과 과학』, 서해문집, 2017)
-
한봉석;
역사문제연구소;
(여성과 역사,
v.0,
2017,
pp.313-322)
-
5
-
식민지시기 재일조선인 여성과 ‘교회’ 공간의 구성
-
홍양희;
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;
(여성과 역사,
v.0,
2022,
pp.35-70)
-
6
-
경계를 묻는 문학적 실천: 이시무레 미치코 『고해정토』로부터
-
심정명;
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;
(비교문학,
v.0,
2015,
pp.91-111)
-
7
-
6・25전쟁기 북한의 서울시민 전출사업 연구
-
김선호;
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;
(서울과 역사,
v.0,
2019,
pp.87-121)
-
8
-
통일벼의 기억과 ‘임금님 쌀’의 역사 만들기
-
김태호;
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;
(사림,
v.0,
2016,
pp.35-70)
-
9
-
구례 유씨가의 처가왕래와 부계화
-
박미해;
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;
(학림,
v.48,
2021,
pp.343-380)
-
10
-
3월 11일 이후의 일본과 세계를 어떻게 상상할 것인가
-
심정명;
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;
(탈경계인문학Trans-Humanities,
v.9,
2016,
pp.225-25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