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서예(書藝)와 한시(漢詩)
-
심경호;
;
(西江人文論叢 = Humanities journal,
v.2007,
2007,
pp.205-243)
-
2
-
ChungHakjip Poet`s Two Aspect
-
Kang , Dongseok;
;
(國際語文 =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international context,
v.73,
2017,
pp.291-311)
-
3
-
정지상(鄭知常) 한시(漢詩)의 영원한 생명력
-
김영동;
;
(동악어문논집,
v.31,
1996,
pp.215-255)
-
4.
- 한국 한시(漢詩)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방안 연구 : 중국어권 고급 학습자를 중심으로
- 김세희
-
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65 p., 2012
-
5.
- 강항 <간양록>한시 연구
- 하수신
-
숭실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58, 2018
-
6
-
18세기 대구사족 최흥원崔興遠의 시세계와 내면 - 『역중일기曆中日記 』내 한시漢詩와 감회표출을 중심으로
-
Hwankuk Jung,;
;
(국학연구,
v.38,
2019,
pp.77-115)
-
7
-
Imagery of Namhae Kumsan Sitting in Chinese Poetry
-
Han, Jeong-ho;
;
(영주어문,
v.53,
2022,
pp.317-338)
-
8
-
한국현대시 해석과 전통문학의 감각 -한시(漢詩)의 경우를 중심으로-
-
김용직;
;
(국어국문학,
v.138,
2004,
pp.93-119)
-
9
-
만해(萬海) 한용운(韓龍雲)의 시조(時調)와 한시(漢詩)
-
이종건;
수원대;
(時調學論叢 = The Korean essays on Sijo literary science,
v.23,
2005,
pp.133-159)
-
10
-
송강(松江) 한시(漢詩)의 재원(材源) 연구(硏究)
-
동달;
;
(국어국문학,
v.110,
1993,
pp.107-13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