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백제 사비기 목제유물의 수종 식별과 분석
-
한상효;
박원규;
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;
충북대학교 목재종이과학과;
(保存科學硏究 = Conservation studies,
v.25,
2004,
pp.197-226)
-
2
-
EGS4 simulation을 이용한 2차원 방사선준위 분포측정 시스템의 Response Matrix 계산
-
김성환;
한상효;
강희동;
김재철;
박인규;
최영수;
이용범;
이종민;
경북대학교;
경북대학교;
경북대학교;
경북대학교;
경북대학교;
한국원자력연구소;
한국원자력연구소;
한국원자력연구소;
(방사선방어학회지 = Radiation protection :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adiation protection,
v.22,
1997,
pp.127-133)
-
3
-
엑스선 촬영실의 공간산란선 발생 인자에 관한 연구
-
나수경;
한상효;
김천대학교 방사선학과;
레이연구소 방사선부;
(방사선기술과학 =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,
v.32,
2009,
pp.393-399)
-
4
-
선릉 정자각 목부재의 연륜연대 분석
-
손병화;
한상효;
박원규;
충북대학교 목재연륜소재은행;
국가기록원 나라기록관 사회기록관리과;
충북대학교 목재.종이과학과;
(한국가구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 furniture society,
v.23,
2012,
pp.222-228)
-
5
-
남원 광한루 목부재의 연륜연대 분석
-
박원규;
김요정;
한상효;
충북대학교 목재.종이과학과;
충북대학교 목재연륜소재은행;
국가기록원;
(文化財 =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,
v.47,
2014,
pp.152-163)
-
6
-
기체전자증폭기를 이용한 X-선 영상획득실험에 관한 연구
-
강상묵;
한상효;
조효성;
남상희;
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의공학과, 의공학연구소;
한국원자력연구소;
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방사선학과, 보건과학연구소;
인제대학교 의료영상연구소;
(의공학회지 =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,
v.24,
2003,
pp.83-89)
-
7
-
창경궁 통명전 목부재의 연륜연대 측정 -방에서 마루로 변형된 시기규명을 중심으로-
-
박원규;
손병화;
한상효;
충북대학교 산림과학부;
충북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연륜연구센터;
국립 부여문화재연구소;
(건축역사연구 :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=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,
v.12,
2003,
pp.53-63)
-
8
-
2차원 방사선준위 분포측정 시스템의 제작 및 특성 조사
-
김성환;
한상효;
김계령;
강희동;
최영수;
이용범;
이종민;
경북대학교 물리학과;
경북대학교 물리학과;
경북대학교 물리학과;
경북대학교 물리학과;
한국원자력연구소;
한국원자력연구소;
한국원자력연구소;
(센서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Sensors Society,
v.6,
1997,
pp.290-297)
-
9
-
<보리밥 장군>에 나타난 ‘대식’ 화소를 통해 살펴본 독립과 자아실현의 의미
-
한상효;
건국대학교;
(韓國古典硏究,
v.0,
2018,
pp.67-102)
-
10
-
북한의 설화자료집 『조선민화집』의 수록 양상과 통일시대의 설화자료 통합방안 모색
-
한상효;
건국대학교;
(동방학지,
v.0,
2016,
pp.27-5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