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699건 중 699건 출력
, 1/70 페이지
-
1
-
한국에서의 일본어통번역 연구경향과 발전방향― 한국일본어통번역학회의 학술활동을 중심으로 ―
-
신경애;
한양여자대학교;
(일본학보,
v.0,
2012,
pp.193-206)
-
2.
- 서양번역사와 번역이론연구
- 김아영
-
선문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, 국내석사,
72p., 2006
-
3
-
Germanistik und Übersetzen in Korea
-
안인경;
한국외국어대학교;
(독어독문학,
v.53,
2012,
pp.25-53)
-
4
-
中国与韩国教育出版业现状及政策
-
포홍;
최연;
김희주;
중국신문출판연구원;
이화여자대학교 통번역대학원 겸임교수;
한국출판학회;
(한국출판학연구,
v.44,
2018,
pp.67-95)
-
5
-
인지적 의미분석에 근거한 통․번역 교육 전략 고찰:영어 전치사를 중심으로
-
유선영;
;
(The Journal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Education,
v.,
2019,
)
-
6
-
4차 산업혁명과 한국의 번역산업 현황 및 통번역 교육의 미래
-
전현주;
신한대학교;
(통번역교육연구,
v.15,
2017,
pp.235-261)
-
7
-
Chinese Familiarity vs Otherness: The Self Gendered Voice in the Translation of Female Poetry
-
Chan, Kar Yue;
Open University of Hong Kong;
(통번역교육연구,
v.15,
2017,
pp.237-256)
-
8
-
Theoretical Research on Condensation Strategy in Simultaneous Interpreting: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
-
Zeng Ceng;
Liaocheng University;
(통번역교육연구,
v.15,
2017,
pp.127-144)
-
9
-
아동 관객의 영한 자막 인지 활동 요인 연구:애니메이션 『인사이드 아웃』을 중심으로
-
김은아;
;
(통번역교육연구,
v.14,
2016,
pp.193-212)
-
10
-
순차통역 교육에서 자기평가의 효용성에 대한 소고: 학부과정에서의 통역교육 사례를 중심으로
-
이미경;
경희대학교;
(통번역교육연구,
v.15,
2017,
pp.57-8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