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52건 중 152건 출력
, 1/16 페이지
-
1
-
한국 碑에 관한 자료-문화재청 자료를 중심으로-
-
김환대;
경주문화유적답사회;
(신라사학보,
v.0,
2008,
pp.307-335)
-
2
-
An Analysis on the Policy and System Related with the Industrial Heritage in Korea, Focused on the Projects of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Ministry of Culture, Sports and Tourism
-
Lee, Yeonkyung;
;
(도시연구: 역사.사회.문화 = Korean journal of urban history,
v.29,
2022,
pp.7-54)
-
3
-
한국의 산업유산 관련 제도와 현황 ― 문화재청과 문화체육관광부의 사업과 사례를 중심으로
-
이연경;
인천대학교;
(도시연구: 역사·사회·문화,
v.0,
2022,
pp.7-54)
-
4
-
석회암 지역에 분포하는 동굴의 내부 온도 변동 특성
-
김련;
박영윤;
이종희;
최재훈;
정규성;
김중태;
김인수;
(사)한국동굴연구소;
(사)한국녹색지구환경연구소;
(사)한국동굴연구소;
(사)한국동굴연구소;
(사)한국동굴연구소;
문화재청 천연기념물과;
문화재청 천연기념물과;
(文化財 =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,
v.53,
2020,
pp.52-63)
-
5
-
남해 가인리 공룡발자국 화석에 대한 디지털 사진 측량 기법의 활용
-
공달용;
임종덕;
김정률;
김경수;
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자연문화재연구실;
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자연문화재연구실;
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;
진주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;
(한국지구과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,
v.31,
2010,
pp.129-138)
-
6
-
백거이의 중은사상과 원림조영
-
이원호;
안혜인;
신현실;
하태일;
김소현;
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;
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;
북경대학교 도시.환경과학학원;
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융합대학원 수리복원학과;
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조경학과;
(韓國傳統造景學會誌 =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,
v.33,
2015,
pp.119-128)
-
7
-
서·남해안 연안습지의 수조류 군집특성
-
신용운;
한승우;
이시완;
황인서;
박치영;
문화재청 천연기념물과;
한국환경생태연구소;
한국환경생태연구소;
해양환경공단;
한국환경생태연구소;
(바다 : 한국해양학회지 = The sea :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,
v.24,
2019,
pp.160-169)
-
8
-
조선왕릉의 능제복원 연구 - 융릉.건릉을 중심으로 -
-
이창환;
정종수;
이원호;
최종희;
상지영서대학 조경과;
한국전통문화학교 전통조경학과;
문화재청 문화재활용국;
배재대학교 생명환경디자인학부;
(韓國傳統造景學會誌 =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,
v.28,
2010,
pp.39-52)
-
9
-
조선왕릉의 능제복원 연구 - 김포 장릉을 중심으로 -
-
이창환;
정종수;
이원호;
최종희;
상지영서대학 조경과;
한국전통문화학교 전통조경학과;
문화재청 문화재활용국;
배재대학교 생명환경디자인학부;
(韓國傳統造景學會誌 =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,
v.28,
2010,
pp.86-97)
-
10
-
한국에서 번식하는 노랑부리백로 Egretta europhotes의 둥지 특성
-
강정훈;
김인규;
이한수;
김달호;
임신재;
이준우;
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;
한국환경생태연구소;
한국환경생태연구소;
한국환경생태연구소;
중앙대학교 생명자원공학부;
충남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;
(한국환경생태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,
v.29,
2015,
pp.850-85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