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한국 환경사회학의 쟁점
-
Ku, DoWan;
;
(경제와 사회 = Economy and Society,
v.100,
2013,
pp.273-291)
-
2
-
한국에서의 지속가능한 사회와 환경사회학 20년 : 회고, 발전 그리고 전망 - 환경사회학회 엮음, 2013, 한국환경사회학 1 『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』, 한국환경사회학 2 『환경운동과 생활세계』, 한울아카데미
-
윤성복;
;
(에코 = ECO,
v.17,
2013,
pp.295-320)
-
3
-
한국 환경사회학의 쟁점
-
구도완;
환경사회연구소;
(경제와 사회,
v.0,
2013,
pp.273-291)
-
4
-
인류세 연구와 한국 환경사회학 : 새로운 질문들
-
최명애;
박범순;
한국과학기술원;
한국과학기술원;
(ECO,
v.23,
2019,
pp.7-41)
-
5
-
‘환경과 사회’ 연구의 동향과 전망
-
박재묵;
충남대학교;
(한국사회,
v.15,
2014,
pp.55-85)
-
6
-
한국 환경사회학의 지적 구조 — ECO 논문 제목의 동시출현단어분석을 중심으로
-
김선회;
윤순진;
중앙대학교;
서울대학교;
(ECO,
v.19,
2015,
pp.165-211)
-
7
-
농업비점오염 관리를 위한 참여단위 거버넌스 구축 연구
-
장정렬;
엄한용;
박형민;
조영주;
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;
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;
건국대학교 환경사회학연구실;
건국대학교 환경과학과;
(한국수자원학회 2016년도 학술발표회,
v.2016,
2016,
pp.29-29)
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