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70건 중 270건 출력
, 1/27 페이지
-
1
-
Representing and Embracing the Korean History of Women involved in the Anti-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as Public History
-
李, 智媛;
;
(역사와 현실,
v.132,
2024,
pp.237-269)
-
2
-
Presentation of an Alternative to the Presentity of Korean Modern History
-
RYU, Si-hyun;
;
(한국 근현대사 연구 = Journal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,
v.92,
2020,
pp.183-191)
-
3
-
공공역사로서 한국 여성 독립운동의 재현과 향유
-
이지원;
역사공장/공공역사문화연구소.);
대림대학교;
;
(역사와 현실,
v.0,
2024,
pp.237-269)
-
4
-
"이승만"을 통해 한국 근ㆍ현대사를 추적한 역저들 - 고정휴, 『이승만과 한국독립운동』(연세대학교출판부, 2004.3) 정병준, 『우남 이승만 연구』(역사비평사, 2005.6)
-
尹善子;
;
(歷史 學報,
v.176,
2006,
pp.335-341)
-
5
-
한국독립운동 사료편찬의 역사와 과제
-
유필규;
독립기념관;
(한국근현대사연구,
v.0,
2019,
pp.235-262)
-
6
-
독립운동을 다룬 한국영화의 시대별 제작 경향과 ⟨말모이⟩(2019) 속 역사 재현의 양상
-
함충범;
한국영상대학교 영화영상과 교수;
(한국근현대사연구,
v.0,
2025,
pp.63-88)
-
7
-
한국 근현대사 연구의 현재성에 관한 대안 제시 박걸순, ⟨한국 독립운동과 역사인식⟩(역사공간, 2019)
-
류시현;
광주교육대학교;
(한국근현대사연구,
v.0,
2020,
pp.183-191)
-
8.
- '독립운동사' 서술을 둘러싼 논쟁과 대안 : 현행 '한국근현대사' 교과서와 기파랑 '대안교과서'를 통하여
- 손화성
-
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67 p., 2009
-
9.
- 대한민국 건군 초기 역사 교육의 현황과 개선 방안 연구
- 박형준
-
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60장, 2023
-
10
-
한국 독립운동의 세계사적 성격과 위상
-
김희곤;
;
(국학연구,
v.7,
2005,
pp.221-24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