검색어 : 통합검색[한국공예·디자인문화진흥원]
-
1.
- 공예 가치 확산을 위한 공예교육 지원사업 개선방안 연구 :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공예교육 사업을 중심으로
- 서양연
-
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, 국내석사,
101p., 2024
-
2
-
한국 공예트렌드페어 운영에 관한 제언
-
김정석;
김수아;
홍익대학교;
홍익대학교;
(조형디자인연구,
v.27,
2024,
pp.153-166)
-
3
-
한지를 활용한 장신구 문화상품의 현황과 발전방향
-
윤애실;
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;
(문화예술산업연구,
v.21,
2021,
pp.69-78)
-
4
-
전시회 - 세계 유일 서체디자인그래픽 비엔날레 '타이포잔치 2013' 개최
-
임남숙;
대한인쇄문화협회;
(프린팅코리아 = Printing Korea,
v.12,
2013,
pp.104-105)
-
5
-
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식물염색교육 사례연구 - 2020 KCDF 대학생대상 공예·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-
-
박현주;
안강현;
서울여자대학교 아트앤디자인스쿨;
서울여자대학교 아트앤디자인스쿨;
(한국디자인포럼,
v.26,
2021,
pp.157-166)
-
6
-
전시회 - 서울 국제 타이포그래피 비엔날레 성료
-
임남숙;
;
(프린팅코리아 = Printing Korea,
v.10,
2011,
pp.110-113)
-
7
-
서비스디자인의 디자인사고를 적용한 북촌공예문화지도
-
오창섭;
건국대학교;
(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,
v.19,
2013,
pp.296-305)
-
8.
- 재정 구조 현황 분석을 통해 본 문화예술분야 운영 제고 방안 :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공공기관을 중심으로
- 김영일
-
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, 국내석사,
iv, 76 p., 2015
-
9.
- 통영누비 기법을 활용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연구
- 한재휘
-
경상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XIV, 86 p., 2019
-
10
-
18세기 일본 남화(南畵)의 전개에서 심남빈(沈南蘋) 회화가 지닌 의미
-
이장훈;
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;
(미술사학연구,
v.308,
2020,
pp.173-20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