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대장단의 유형과 리듬적 결속원리
-
이보형;
한국고음반연구회;
(한국음악연구,
v.41,
2007,
pp.185-242)
-
2
-
중중모리 ‘달고 맺기’와 진양 ‘기 경 결 해’의 의미 및 생성연구
-
이보형;
한국고음반연구회;
(한국음악연구,
v.39,
2006,
pp.189-236)
-
3
-
전통음악의 양악보에서 장단주기박자와 강약주기박자
-
이보형;
한국고음반연구회;
(한국음악연구,
v.45,
2009,
pp.251-303)
-
4
-
박, 박자, 장단의 층위(層位)와 변이(變移)유형
-
이보형;
한국고음반연구회;
(한국음악연구,
v.40,
2006,
pp.197-236)
-
5
-
판소리 대목의 작품 텍스트 리듬 거시구조에 대한 담론분석 시론-한애순 심청가 화초타령 대목의 리듬적 응결성을 중심으로-
-
이보형;
한국고음반연구회;
(한국음악연구,
v.36,
2004,
pp.7-30)
-
6
-
가곡형(歌曲型) 음악부문의 장단 리듬 통사구조(統辭構造) 연구
-
이보형;
한국고음반연구회;
(한국음악연구,
v.37,
2005,
pp.183-230)
-
7
-
아리랑소리의 생성문화 유형과 변동
-
이보형;
한국고음반연구회;
(한국민요학,
v.26,
2009,
pp.95-128)
-
8
-
경기 남부 및 충청 북부 도당굿의 음악적 특성 -경기 북부 굿과 비교를 중심으로-
-
이보형;
한국고음반연구회;
(한국무속학,
v.0,
2014,
pp.7-22)
-
9
-
통속민요 성주풀이 발생에 대한 고찰
-
이보형;
한국고음반연구회;
(한국민요학,
v.34,
2012,
pp.147-186)
-
10
-
산조 악보에 나타난 기보방법의 유형과 변천
-
이보형;
한국고음반연구회;
(한국음악사학보,
v.0,
2008,
pp.411-48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