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[논문] 관계의 시학 - 하종오 론
-
김유중;
;
(문학과 환경: Literature and environment,
v.3,
2004,
pp.115-132)
-
2.
- 하종오 후기시의 탈식민성 연구
- 박은주
-
한국교원대학교, 국내석사,
iv, 93 p., 2017
-
3.
- 하종오 시에 나타난 다문화 현실에 관한 연구
- 서영애
-
동신대학교, 국내박사,
195 p., 2019
-
4
-
하종오 시에 나타난 다문화 연구 - 시집『입국자들』과 『제국』을 중심으로
-
류찬열;
;
(다문화콘텐츠연구 = Journal of multi-cultural contents studies,
v.11,
2011,
pp.265-286)
-
5
-
다문화시대와 현대시의 새로운 가능성 - 하종오의 시를 중심으로
-
류찬열;
;
(國際語文 =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international context,
v.44,
2008,
pp.281-301)
-
6
-
A Study on Ha Jong-o’s collection of poems “Jeju Yemen”
-
Lyu, Chanyoul;
;
(다문화콘텐츠연구 = Journal of multi-cultural contents studies,
v.33,
2020,
pp.237-258)
-
7
-
Imagination of Post-division in Jong-oh Ha's Poetry
-
Yun, Hye-ok;
;
(인문학연구 :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,
v.63,
2022,
pp.565-593)
-
8
-
하종오 시의 ‘트랜스담론’과 ‘민족공동권’ 소고
-
최종환;
;
(세계문학비교연구 = The comparative study of world literature,
v.41,
2012,
pp.33-53)
-
9
-
하종오 시에 나타난 탈분단의 상상력*
-
윤혜옥;
조선대학교;
(인문학연구,
v.0,
2022,
pp.565-593)
-
10
-
Ethics of Concurrence and Introspection on Other People;
-
김홍진;
;
(한국문예비평연구 = Jorunal of Korean literary criticism,
v.26,
2008,
pp.161-18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