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공간, 영화, 영화-공간에 대한 미학적 고찰 - 헤르만 슈미츠의 신체현상학적 이론을 중심으로
-
하선규;
;
(현대미술학 논문집,
v.12,
2008,
pp.295-333)
-
2
-
종합토론 : 제5차 분과 학술 심포지엄
-
윤난지;
이윤영;
하선규;
이지은;
조광석;
김정희;
황철민;
김수현;
전혜숙;
이한이;
김향숙;
강태희;
김정복;
;
(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,
v.26,
2007,
pp.226-241)
-
3
-
대도시의 미학을 위한 프롤레고메나- 짐멜, 크라카우어, 벤야민에 기대면서
-
하선규;
홍익대학교;
(도시인문학연구,
v.3,
2011,
pp.129-174)
-
4.
- Theologie, Teleologie und Asthetik beim vorkritischen Kant : eine entwicklungsgeschichtliche Studie zu den Motiven der Kritik der Urteilskraft
- 하선규
-
Freie Universitat Berlin, 국외박사,
267p., 1998
-
5
-
현대 영상매체와 공간적 경험에 관한 매체미학적 연구
-
하선규;
;
(美學(미학),
v.0,
2012,
pp.179-191)
-
6
-
키에르케고어 철학에 있어 심미적 실존과 예술의 의미에 관한 연구 ― 『이것이냐/저것이냐』, 『불안의 개념』, 『반복』, 『철학적 조각들』을 중심으로
-
하선규;
;
(美學(미학),
v.0,
2013,
pp.219-268)
-
7
-
텔레비전 영상의 미학적 특성과 문화철학적 의미에 관한 연구
-
하선규;
홍익대학교;
(미학예술학연구,
v.30,
2009,
pp.331-364)
-
8
-
Arne Grøn (1994). Begrebet Angst hos Søren Kierkegaard , Gyldendalske Boghandel, Nordisk Forlag A/S, Copenhagen, trans. 『불안과 함께 살아가기: 키에르케고어의 인간학』. 하선규 옮김(2016). 도서출판b.
-
Ryou, Hoin;
;
(현대정신분석 = The journal of contemporary psychoanalysis,
v.26,
2024,
pp.325-340)
-
9
-
영상매체와 시선의 역사적 구성에 관한 고찰 -크라카우어, 발라쉬, 벤야민의 이론을 중심으로-
-
하선규;
홍익대학교;
(철학∙사상∙문화,
v.0,
2021,
pp.168-200)
-
10
-
영상의 환영성에 관한 매체철학적 연구 - 1920년대 독일 표현주의 영화사례를 중심으로
-
하선규;
;
(美學(미학),
v.0,
2008,
pp.155-20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