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90건 중 190건 출력
, 1/19 페이지
-
1.
- 6·25전쟁시기 천도교계 포로의 전향과 종교활동에 관한 연구
- 성강현
-
동의대학교, 국내박사,
, 2015
-
2.
- 포스트기억 세대의 포로 내러티브 연구 : 『포로들의 춤』과 <스윙키즈>를 중심으로
- 이유리
-
부산대학교, 국내석사,
70, 2022
-
3
-
일제의 타이 연합군 포로수용소 한국인 동원 실태와 특성 - 「아유타야수용소 입소자 명단」을 중심으로 -
-
서현주;
독립연구자;
(역사와교육,
v., 0,
2023,
pp.205-246)
-
4
-
한국전쟁기 ICRC의 포로 송환정책과 미군의 ‘자원 송환’ 연구
-
전갑생;
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 연구소;
(한국민족운동사연구,
v.0,
2024,
pp.511-564)
-
5
-
영국군 포로는 북한에서 어떻게 취급되었다고 상상되는가? — 영화 《Captured》와 세뇌(brainwashing) 이론의 영국적 적용
-
김민환;
한신대 평화교양대학;
(사회와역사(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),
v.0,
2024,
pp.61-96)
-
6
-
한국전쟁과 여성 포로 표상의 젠더 정치
-
오태영;
동국대학교;
(현대문학의 연구,
v.0,
2023,
pp.49-98)
-
7.
- 6.25전쟁 관련 유산의 세계유산 등재를 위한 잠재 가능성 분석 : 남한지역을 중심으로
- 정기욱
-
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228, 2018
-
8
-
6·25전쟁기 거제 포로수용소의 음악- 냉전이데올로기와 노래 -
-
이경분;
한국학중앙연구원;
(군사,
v.0,
2020,
pp.1-46)
-
9
-
한국전쟁기 포로노래의 역할: 포로 통제수단으로서의 금지곡
-
이경분;
서울대학교;
(민족문화연구,
v.0,
2023,
pp.571-601)
-
10
-
제2차 세계대전 중 타이완인 포로감시원과 통역의 수용소 경험
-
란스치;
독립연구자;
(동방학지,
v.0,
2021,
pp.65-8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