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06건 중 106건 출력
, 1/11 페이지
-
1.
- 탈북 소재 아동문학에 나타난 기억의 형상화 연구
- 이정혜
-
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, 129 p, 2024
-
2
-
탈북민 문학의 현황과 전망 -『망명 북한 작가 PEN 문학』을 중심으로-
-
김효석;
한남대학교;
(한민족문화연구,
v.76,
2021,
pp.117-152)
-
3.
- 통일 문학교육으로서 탈북자 소설 교육 연구
- 권근영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, 168 p., 2020
-
4
-
문학치료학적 관점에서 본 탈북 청소년의 자기서사 진단 사례 연구
-
나지영;
;
(통일인문학논총 = The journal of humanities for unification,
v.52,
2011,
pp.71-112)
-
5
-
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the Tumen River in North Korean Defector's Literature
-
Seo, Serim;
;
(용봉인문논총 = Yongbong journal of humanities,
v.62,
2023,
pp.149-175)
-
6
-
Intellectuals Described in Literature by North Korean Defector Writers
-
Seo, Serim;
;
(春園硏究學報 = Journal of Kwangsoo Lee research,
v.13,
2018,
pp.235-262)
-
7
-
탈북과 적응이 남긴 문제에 대한 문학치료학적 접근 - 적응에 성공한 탈북여성의 사례를 중심으로 -
-
박재인;
건국대학교;
(고전문학과 교육,
v.0,
2015,
pp.381-419)
-
8
-
North Korean Literary Identities in North Korean Defector Novels
-
Lee, Young Mi;
;
(현대문학이론연구= (The)Journal of modern literary theory,
v.64,
2016,
pp.217-243)
-
9
-
문화지리학을 통한 문학공간 이해 교육:탈북 디아스포라 소설을 중심으로
-
남궁정;
성균관대학교;
(한국언어문화,
v.0,
2022,
pp.55-92)
-
10
-
Study on Narratives of North Korean Refugees in Transnational American Literature
-
Kim, Daejoong;
;
(동서비교문학저널 = The Journal of East-West comparative literature,
v.54,
2020,
pp.7-2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