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쿠빌라이 칸의 3차 日本遠征 計劃과 高麗·日本의 對應 : 쿠빌라이 칸의 3차 日本遠征 計劃과 高麗·日本의 對應
- TuvshinEnkhtungalag
-
부경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83 p., 2014
-
2
-
쿠빌라이 칸과 대성수만안사의 백탑
-
주경미;
부경대학교;
(미술사와 시각문화,
v.0,
2009,
pp.68-97)
-
3
-
쿠빌라이 칸과 대성수만안사의 백탑
-
주경미;
부경대학교;
(미술사와 시각문화,
v.0,
2009,
pp.68-97)
-
4
-
쿠빌라이칸의 중앙집권화에 대한 카단宗王軍의 항전과 고려 鴒原山城 討伐戰
-
周采赫;
;
(江原人文論叢,
v.8,
2000,
pp.267-287)
-
5
-
돌하르방은 석궁왕(石弓王), 쿠빌라이 대칸의 탐라도 환생석 - 스키타이 기마 양유목혁명을 중심으로
-
주채혁;
강원대학교;
(한국 시베리아연구,
v.20,
2016,
pp.137-168)
-
6
-
쿠빌라이칸의 중앙집권화에 대한 東道諸王들의 대응―‘나얀 반란’을 중심으로―
-
尹銀淑;
;
(중앙아시아연구,
v.8,
2003,
pp.2-52)
-
7
-
쿠빌라이칸의 중앙집권화에 대한 東道諸王들의 대응―‘나얀 반란’을 중심으로―
-
尹銀淑;
강원대학교;
(중앙아시아연구,
v.8,
2003,
pp.2-52)
-
8
-
돌하르방은 석궁왕(石弓王), 쿠빌라이 대칸의 탐라도 환생석 - 스키타이 기마 양유목혁명을 중심으로
-
주채혁;
강원대학교;
(한국 시베리아연구,
v.20,
2016,
pp.137-168)
-
9.
- МОНГОЛЫН ЭЗЭНТ ГЧРЭН БА ТΘВ АЗИЙН ТЧЧх-СОЕ‥ЛЫН хАРИЛЦААНЫ ЗАРИМ АСУУДАЛ : XIII зУУны МонГоЛын ТаЛ нУТаГ
- 김장구
-
МОНГОЛ У ЛСЫН Их СУРГУУЛЬ НИЙГМИЙН ШИНЖЛЭх УхААНЫ СУРГУУЛЬ, 국외박사,
[147]p., 2005
-
10.
- 몽골帝國時期 옷치긴 王家에 대한 一考 : 勢力基盤과 그 變化를 中心으로
- 고명수
-
高麗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64p., 200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