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1927년 조선사회단체 중앙협의회 창립 총회와 최익한
-
송, 찬섭;
;
(역사연구,
v.50,
2024,
pp.503-533)
-
2
-
Choi Ik-han’s academic and writing activities after the North
-
Song, Chanseop;
;
(歷史學硏究 = The Korean journal of history,
v.70,
2018,
pp.65-102)
-
3
-
‘茶山’의 초상과 남․북한의 ‘實學’ 전유-1950년대 최익한과 홍이섭의 정약용 연구를 중심으로-
-
정종현;
인하대학교;
(서강인문논총,
v.0,
2015,
pp.311-357)
-
4
-
최익한의 다산학 이해와 그 의미
-
백민정;
가톨릭대학교;
(다산학,
v.0,
2020,
pp.161-218)
-
5
-
최익한의 다산연구의 성과와 한계
-
송찬섭;
한국방송통신대학교;
(한국실학연구,
v.0,
2014,
pp.259-289)
-
6
-
월북 이후 최익한의 학문과 집필활동
-
송찬섭;
한국방송통신대학교;
(역사학연구,
v.0,
2018,
pp.65-102)
-
7
-
Choi Ik-han’s Socialist Movement after the Korean Liberation and His ‘Letter of Excuse’
-
Song, Chanseop;
;
(歷史學硏究 = The Korean journal of history,
v.66,
2017,
pp.131-170)
-
8
-
경주시를 관류하는 하천수에 대한 세균학적 조사 - 살모넬라에 대하여 -
-
최익한;
동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;
(예방의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,
v.22,
1989,
pp.268-275)
-
9
-
한국(韓國) 농어촌(農漁村) 개발(開發)에 대(對) 한 소고(小考) -특(特)히 주택개량(住宅改良)을 중심(中心)으로-
-
최익한;
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;
(韓國農村醫學會誌 = Korean journal of rural medicine,
v.2,
1977,
pp.53-64)
-
10
-
1927년 조선사회단체 중앙협의회 창립총회와 최익한
-
송찬섭;
한국방송통신대학교;
(역사연구,
v.0,
2024,
pp.509-53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