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"최세화(崔世和) 저(著), 국어학론고(國語學論考)
-
박병채;
;
(국어국문학,
v.99,
1988,
pp.361-363)
-
2
-
초성(初聲) 합용병서(合用竝書)에 대한 두 가지 단상(斷想)
-
최세화;
;
(동악어문논집,
v.17,
1983,
pp.145-154)
-
3
-
초성합용(初聲合用) 서(書)에 대(對)한 재고(再考)
-
최세화;
;
(국어국문학,
v.89,
1983,
pp.21-26)
-
4
-
"김혜숙(金惠淑) 저(著), 현대 국어의 대우법 체계 연구
-
최세화;
;
(국어국문학,
v.98,
1987,
pp.261-263)
-
5
-
무애 양주동 선생의 국어학연구
-
최세화;
;
(韓國文學硏究= Studies in Korean litererature,
v.11,
1988,
pp.17-34)
-
6
-
세종어제훈민정음 서문에 대해
-
최세화;
;
(語文 硏究 : 한국어문교육연구회,
v.17,
1989,
pp.420-421)
-
7
-
중세국어(中世國語)의 파찰음고(破擦音攷)
-
최세화;
;
(국어국문학,
v.79,
1979,
pp.99-118)
-
8
-
한국어(韓國語) 마찰음(摩擦音)·파찰음(破擦音)의 조음(調音) 특질(特質)
-
최세화;
;
(국어국문학,
v.78,
1978,
pp.41-56)
-
9
-
15개 받침 사용론에 대한 논평
-
최세화;
;
(語文 硏究 : 한국어문교육연구회,
v.18,
1990,
pp.473-474)
-
10
-
처격(處格) / -예 / 고(攷)
-
최세화;
;
(동악어문논집,
v.3,
1965,
pp.13-2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