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최삼룡(崔三龍) 저(著) 「한국초기소설(韓國初期小說)의 도선사상(道仙思想)」
-
소재영;
;
(국어국문학,
v.88,
1982,
pp.523-525)
-
2
-
화합과 갈등 - 한국과 중국 조선족 문학교류 20년 회고
-
최삼룡;
;
(비평문학 = Literary criticism,
v.1999,
1999,
pp.515-524)
-
3
-
<백조> 문학에 대한 평가문제</백조>
-
최삼룡;
;
(중국조선어문 = Korean Language in China,
v.1986,
1986,
pp.85-96)
-
4
-
[초대논문] 박팔양의 두 얼굴과 그 표정
-
최삼룡;
;
(세계한국어문학 = International Society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5,
2011,
pp.27-64)
-
5
-
중국 조선족 설화에서의 정착의식
-
최삼룡;
;
(語文 硏究 : 한국어문교육연구회,
v.25,
1997,
pp.64-72)
-
6
-
작년도 고등학교응시생 작문시험과 관련하여
-
최삼룡;
;
(중국조선어문 = Korean Language in China,
v.1983,
1983,
pp.41-42)
-
7
-
중국조선족 설화에서 정착의식
-
최삼룡;
;
(比較民俗學 = Asian Comparative Folklore,
v.15,
1998,
pp.539-551)
-
8
-
도술계(道術系) 소설(小說)의 형성문제(形成問題)에 대한 고찰(考察)
-
최삼룡;
;
(국어국문학,
v.90,
1983,
pp.299-318)
-
9
-
<임진록(壬辰錄)>의 영웅상(英雄像)에 대한 고찰(考察) -이인영웅(異人英雄)으로의 변모(變貌)를 중심(中心)으로-
-
최삼룡;
;
(국어국문학,
v.107,
1992,
pp.1-46)
-
10
-
중·조·한 항일시가 비교연구 -최삼룡의『항일시가집』을 중심으로
-
오수영;
연변대학;
(춘원연구학보,
v.0,
2022,
pp.173-20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