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簡易 최립의 使行詩 硏究
- 김현미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, 110p., 1998
-
2.
- 간이 최립의 문학론 연구
- 오상희
-
충남대학교, 국내석사,
77p., 1996
-
3
-
간이 최립의 화론 연구
-
맹영일;
;
(동양학,
v.0,
2011,
pp.21-42)
-
4
-
간이 최립의 화론 연구
-
맹영일;
고려대학교;
(동양학,
v.0,
2011,
pp.21-42)
-
5
-
『한문토석』에 나타난 윤근수와 최립의 현토 담론에 관하여
-
신영주;
성신여자대학교;
(漢文學報,
v.20,
2009,
pp.225-250)
-
6
-
『한문토석』에 나타난 윤근수와 최립의 현토 담론에 관하여
-
신영주;
성신여자대학교;
(漢文學報,
v.20,
2009,
pp.225-250)
-
7
-
최립의 삶과 시문학의 일고찰-조선 문인들의 평가와 송시풍 지향을 중심으로-
-
황현우;
부산외국어대학교;
(동양한문학연구,
v.61,
2022,
pp.251-271)
-
8
-
17세기 관료문인들의 ‘송도삼절’과 개성 이미지-최립의 문장ㆍ차천로의 시ㆍ한호의 글씨를 중심으로
-
노경희;
울산대학교;
(역사와 현실,
v.0,
2022,
pp.289-325)
-
9
-
최립의 삶과 시문학의 일고찰-조선 문인들의 평가와 송시풍 지향을 중심으로-
-
황현우;
부산외국어대학교;
(동양한문학연구,
v.61,
2022,
pp.251-271)
-
10
-
The 17th century Literary writers’ perception of ‘Songdo Samjeol’ and the Image of Songdo - Examination of Choi Rib’s Writings, Cha Cheon-ro’s Poems, and Han Ho’s Calligraphy -
-
Rho, Kyung-hee;
;
(역사와 현실,
v.126,
2022,
pp.289-32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