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최공호-한국 근대 문양의 시각문화적 성격 - 상징의 변화과정
-
최공호;
한국전통문화학교;
(한국근현대미술사학(구 한국근대미술사학),
v.10,
2002,
pp.335-361)
-
2
-
韓國 近代 工藝의 二元構造, 그 형성과 전개
-
최공호;
;
(美術史學 = Art History,
v.8,
1994,
pp.71-101)
-
3
-
한국 공예의 미의식 - 節用의 수범과 大觀의 너른 품
-
최공호;
;
(美術史論壇 = Art history forum,
v.35,
2012,
pp.239-260)
-
4
-
한국 공예사학의 장르관습과 위계구조
-
최공호;
주경미;
;
(美術史學 = Art History,
v.21,
2007,
pp.375-408)
-
5
-
동방각국이 서국공예를 방효하는 총설이라
-
최공호;
;
(미술사연구 = Journal of art history,
v.1990,
1990,
pp.113-118)
-
6
-
'이왕직미술품제작소' 연구
-
최공호;
;
(古文化 = Korean antiquity,
v.34,
1989,
pp.97-123)
-
7
-
日帝時期의 博覽會政策과 近代工藝
-
최공호;
;
(美術史論壇 = Art history forum,
v.11,
2000,
pp.117-137)
-
8
-
제8회 한국미술사 교육연구회 전국대회 종합토론
-
문명대;
안휘준;
이성미;
김현숙;
오광수;
강경숙;
윤범모;
허영환;
정영목;
김영나;
최공호;
;
(美術史學 = Art History,
v.8,
1994,
pp.103-117)
-
9
-
한국미술사교육학회 제14회 전국학술대회 종합토론
-
이은기;
조은영;
정무정;
김미경;
오진경;
정형민;
문정희;
이송란;
최공호;
박은경;
정우택;
안휘준;
;
(美術史學 = Art History,
v.17,
2003,
pp.159-188)
-
10
-
한국미술사교육학회 제18회 전국학술대회 종합토론
-
윤용이;
정무정;
김정락;
이영희;
이송란;
장남원;
김윤정;
이종민;
이인범;
목수현;
최공호;
주경미;
강경숙;
문명대;
;
(美術史學 = Art History,
v.21,
2007,
pp.409-42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