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신라수이전(新羅殊異傳) 소고(小攷) (續)
-
최강현;
;
(국어국문학,
v.26,
1963,
pp.89-106)
-
2
-
시조(時調)의 형성시기를 살핌
-
최강현;
;
(國語文學,
v.25,
1985,
pp.245-263)
-
3
-
영·정시대(英·正時代) 가사문학론(歌辭文學論)
-
최강현;
;
(국어국문학,
v.76,
1977,
pp.77-87)
-
4
-
『북관노정록(北關路程錄)』소고(小考)
-
최강현;
;
(국어국문학,
v.62,
1973,
pp.309-329)
-
5
-
수로조천록(水路朝天錄)에 대하여
-
최강현;
;
(국어국문학,
v.87,
1982,
pp.322-331)
-
6
-
왕조(王朝) 한양가(漢陽歌)의 이본(異本)에 대하여
-
최강현;
;
(국어국문학,
v.32,
1966,
pp.81-90)
-
7
-
"미발표기행(未發表紀行) '금강녹' 소고(小考)
-
최강현;
;
(국어국문학,
v.82,
1980,
pp.9-22)
-
8
-
「신라(新羅) 수이전(殊異傳)」 소고(小攷)
-
최강현;
;
(국어국문학,
v.25,
1962,
pp.147-163)
-
9
-
바다를 기리는 문학이 아쉽다
-
최강현;
;
(精神文化,
v.13,
1982,
pp.128-130)
-
10
-
가사문학 이본의 처리와 주석 대상 작품의 확정 방안-한양가를 예로 하여
-
최강현;
;
(韓國文學硏究= Studies in Korean litererature,
v.25,
2002,
pp.133-16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