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25건 중 125건 출력
, 1/13 페이지
-
1.
- <崔孤雲傳>의 초기 소설사적 의의에 관한 연구
- 이종필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, 74 p., 2006
-
2
-
문학사 교육에서 ‘지식의 구조’와 그 교육 방안 - 초기 소설사 논쟁을 중심으로 -
-
주재우;
전북대학교;
(문학교육학,
v.0,
2022,
pp.115-142)
-
3
-
The ‘Structure of Knowledge’ in Literacy History Education and the Teaching Plans - Focused on the Dispute ab out the History of Early Novel -
-
Joo, Jae-Woo;
;
(문학교육학 = Korean literature education research,
v.75,
2022,
pp.115-142)
-
4
-
초기소설사 연구 18세기 국외 연구동향
-
이혜수;
이화여자대학교;
(안과밖:영미문학연구,
v.0,
2008,
pp.220-237)
-
5
-
‘초기소설사’에서의 역사와 허구의 관련 양상
-
조현우;
대림대학;
(고소설연구,
v.0,
2007,
pp.65-92)
-
6
-
『화랑세기』를 통해 본 초기 소설사의 양상
-
신재홍;
경원대학교;
(고소설연구,
v.0,
2008,
pp.37-61)
-
7
-
수필가 田淑禧의 초기소설 연구 : 소설사적 의의와 장르전환의 내적 필연성을 중심으로
-
서정자;
;
(여성문학연구,
v.0,
2016,
pp.139-168)
-
8
-
A Review of the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North Korean Literature History about Yeom Sang-seop’s Early Literature -Focusing on the Evaluation of Joseon Modern Novel History (2013) on the Mid-length Novel “Mansaejeon” and etc.
-
Oh, Tae-ho;
;
(국어국문학,
v.198,
2022,
pp.203-229)
-
9
-
애정 전기소설사 초기의 서사적 성격 -『대동운부군옥』에 실린 『수이전』 일문을 중심으로-
-
이정원;
경기대학교;
(고소설연구,
v.0,
2008,
pp.65-87)
-
10
-
문학사 교육에서 ‘지식의 구조’와 그 교육 방안 - 초기 소설사 논쟁을 중심으로 -
-
주재우;
전북대학교;
(문학교육학,
v.0,
2022,
pp.115-14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