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42건 중 142건 출력
, 1/15 페이지
-
1
-
무위의 정원: 졸정원에 담긴 도가 철학에 관한 연구
-
서희연;
경기대학교 동아시아예술연구소;
(유학연구,
v.70,
2025,
pp.161-186)
-
2
-
들뢰즈와 베케트--철학과 문학의 공통 기호들(II): 모나드의 정원, 『몰로이』
-
박지숙;
윤화영;
부산대학교;
;
(영어영문학,
v.51,
2005,
pp.701-733)
-
3
-
무위의 정원: 졸정원에 담긴 도가 철학에 관한 연구
-
서희연;
경기대학교 동아시아예술연구소;
(유학연구,
v.70,
2025,
pp.161-186)
-
4
-
들뢰즈와 베케트--철학과 문학의 공통 기호들(II): 모나드의 정원, 『몰로이』
-
박지숙;
윤화영;
부산대학교;
;
(영어영문학,
v.51,
2005,
pp.701-733)
-
5
-
봉선사 연화수미원 설계
-
홍승훈;
이혁재;
동국대학교 WIS캠퍼스 조경정원디자인학부;
동국대학교;
(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,
v.10,
2024,
pp.220-230)
-
6
-
소쇄원의 수용미학적 해석
-
서자유;
서울시립대학교;
(한국조경학회지 =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,
v.49,
2021,
pp.29-39)
-
7
-
한국 정원의 피에트 아우돌프(Piet Oudolf)정원 변증적 수용
-
최배석;
단국대학교;
(문화와융합,
v.45,
2023,
pp.1301-1315)
-
8
-
가레산스이(枯山水) 정원의 대경(對景), 인경(引景), 누경(漏景), 차경(借景)시점을 통한 뮤지엄의 전시공간 연출에 관한 재해석의 가능성 - 국립중앙박물관, 아부다비 루브르박물관, 오사카역사박물관, 국립해양박물관을 중심으로-
-
오선애;
경성대학교;
(전시디자인연구,
v.21,
2024,
pp.27-35)
-
9.
- 우암 송시열의 정원유적에 나타난 자연관에 관한 연구 : 중부지방을 중심으로
- 박해영
-
상명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87 p., 2008
-
10
-
왕슈(王澍) 건축에 나타난 중국 전통 서예와 산수화의 특징에 대한 연구 - 전통 서예와 산수화의 공간 조성 기법을 중심으로 -
-
장명월;
조항만;
서울대 대학원;
서울대 건축학과;
(大韓建築學會論文集.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. 計劃系,
v.36,
2020,
pp.113-12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