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,084건 중 1,000건 출력
, 1/100 페이지
-
1
-
[논단 1] 한국철학사 방법론 - 한국철학사 연구와 인문학 교육
-
김영민;
;
(오늘의 동양사상,
v.12,
2005,
pp.207-230)
-
2
-
형상과 생성 : 베르그송의 철학사 전환 시도
-
류종렬;
;
(근대철학,
v.4,
2009,
pp.67-96, 134-135)
-
3
-
세계 인식에서의 신체성 의미 - 철학사 속의 베르그송
-
박종원;
;
(철학과 현상학 연구,
v.14,
1999,
pp.180-210)
-
4
-
서양 철학사에서 생태 중심적 원리의 모색
-
조정옥;
;
(철학과 현상학 연구,
v.22,
2004,
pp.155-180)
-
5
-
한국현대철학사 방법론의 확장: 이규성의 ‘한국현대철학사론’과 그 논쟁들의 재검토를 중심으로
-
박민철;
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;
(시대와 철학,
v.34,
2023,
pp.41-76)
-
6
-
하이데거의 서양철학사론 - 아낙시만드로스 편
-
이수정;
;
(존재론연구,
v.28,
2012,
pp.107-135)
-
7
-
풍우란과 그의 '중국철학사 신편'
-
이남영;
;
(東亞文化 = The Journal of S.N.U. Institute of Asian Studies,
v.1980,
1980,
pp.179-210)
-
8
-
이 한권의 책 - 서양철학사
-
김용운;
동명정보대학교 석좌교수;
(과학과 기술 = The science & technology,
v.29,
1996,
pp.64-65)
-
9
-
한국현대철학사 연구 어떻게 할 것인가에 답하다 -이규성, 『한국현대철학사론』(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, 2012) -
-
박홍식,;
;
(개념과 소통,
v.11,
2013,
pp.175-186)
-
10
-
철학사에서 사라져버린 나머지 반쪽의 형이상학
-
신지영;
;
(철학과 현상학 연구,
v.41,
2009,
pp.31-6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