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66건 중 166건 출력
, 1/17 페이지
-
1
-
제주도 천지연계곡의 수목분포와 관속식물상
-
김찬수;
정은주;
송관필;
김지은;
문명옥;
강영제;
김문홍;
임업연구원 임목육종부;
임업연구원 제주임업시험장;
제주대학교 생물학과;
임업연구원 제주임업시험장;
제주도 한라산연구소;
임업연구원 제주임업시험장;
제주대학교 생물학과;
(韓國資源植物學會誌 =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,
v.15,
2002,
pp.114-122)
-
2
-
천지연 관광지를 위한 비주얼 스토리텔링연구
-
황순선;
숙명여자대학교;
(일러스트레이션 포럼,
v.13,
2012,
pp.49-58)
-
3
-
제주도 천지연 기수역에 서식하는 검정망둑, Tridentiger obscurus의 산란 특성
-
진영석;
박창범;
김한준;
허상우;
김병호;
김병직;
백혜자;
김형배;
이영돈;
제주대학교 해양과 환경연구소;
제주대학교 해양과 환경연구소;
제주대학교 해양과 환경연구소;
제주대학교 해양과 환경연구소;
제주대학교 해양과 환경연구소;
제주대학교 해양과 환경연구소;
부경대학교 자원생물학과;
강원도립대학 해양생물자원개발과;
제주대학교 해양과 환경연구소;
(한국수산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,
v.2005,
2005,
pp.178-179)
-
4
-
서귀포시 천지연 걸매 생태공원 조성을 위한 생태계 모니터링 및 기본계획
-
이경재;
한봉호;
권전오;
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;
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;
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;
(한국환경생태학회 2001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논문발표회,
v.2001,
2001,
pp.69-74)
-
5
-
우렁이 기능성 활성물질의 고효율 추출조건 구명
-
천지연;
강성원;
장주빈;
조성환;
최성길;
;
(농업생명과학연구 = Journal of agriculture & life science,
v.42,
2008,
pp.9-16)
-
6.
- 제주도 세계지질공원의 과학테마북 개발 연구 : 서귀포층‧천지연폭포 지역을 중심으로
- 서현정
-
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Vii, 69 p., 2011
-
7
-
노동극 〈선봉에 서서〉 연구
-
임지희;
;
(한국극예술연구 = The Journal of Korean drama and theatre,
v.38,
2012,
pp.179-205)
-
8
-
Cyclodextrin을 이용한 분자단위 나노캡슐화 기술 및 연구동향
-
천지연;
제주대학교;
(식품저장과 가공산업 = Food preservation and processing industry,
v.14,
2015,
pp.63-69)
-
9.
- 낮술
- 손옥자
-
국민대학교 문예창작대학원, 국내석사,
iv, 21 p., 2008
-
10
-
한국산 참다래의 화학성분 및 항산화 활성
-
정창호;
천지연;
배송환;
최성길;
;
(농업생명과학연구 = Journal of agriculture & life science,
v.41,
2007,
pp.27-3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