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천선란 『이끼숲』의 한중번역
- HUANG LING YING
-
가천대학교 글로벌캠퍼스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, 2024
-
2
-
‘Objective Phenomenology’ and Ecological Thought in Cheon Seon-ran's SF ― Focusing on Cheon Seon-ran's 『Nine』
-
Im, Ji-yeon;
;
(비평문학 = Literary criticism,
v.88,
2023,
pp.113-137)
-
3
-
천선란의 SF에 나타난 ‘객관적 현상학’과 생태적 사유 ― 천선란의 『나인』을 중심으로
-
임지연;
건국대학교;
(비평문학,
v.0,
2023,
pp.113-137)
-
4
-
SF로 사유하는 환대의 미학, 환대의 교육 - 천선란의『천 개의 파랑』을 중심으로
-
최예슬;
경기과학고등학교;
(한국어문교육,
v.0,
2024,
pp.195-229)
-
5
-
‘위기’에 대한 사유와 SF의 대안적 상상력 - 천선란의 『나인』(2021)을 중심으로 -
-
이지연;
;
(이화어문논집,
v.0,
2023,
pp.155-180)
-
6
-
2010년대 한국 여성 과학소설의 교양교육적 함의-천선란의 천 개의 파랑을 중심으로
-
송다금;
숙명여자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;
(교양교육연구,
v.17,
2023,
pp.87-101)
-
7
-
SF로 사유하는 환대의 미학, 환대의 교육 - 천선란의『천 개의 파랑』을 중심으로
-
최예슬;
경기과학고등학교;
(한국어문교육,
v.0,
2024,
pp.195-229)
-
8
-
에코테크네 디스토피아와 생명 정치의 타자성 - 천선란의 『이끼숲』을 중심으로
-
오윤호;
;
(대중서사연구,
v.29,
2023,
pp.39-67)
-
9
-
‘위기’에 대한 사유와 SF의 대안적 상상력 - 천선란의 『나인』(2021)을 중심으로 -
-
이지연;
;
(이화어문논집,
v.0,
2023,
pp.155-180)
-
10
-
A Study of Boundary Dismantle of Korean SF ― Based on Kim Boyoung, Kim Choyeop, Cheon Seonran
-
Sola, Chin;
;
(한국문예창작,
v.21,
2022,
pp.75-9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