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『만요슈』에 나타난 안개 고(考)
-
옥상미;
부산외국어대학교;
(일본문화연구,
v.0,
2013,
pp.327-348)
-
2.
- 김득신의 시론과 시의 관련 양상 연구
- 김광수
-
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185 p., 2010
-
3.
- 중국어 교육에 있어서 애니메이션 '櫻桃小丸子”활용에 관한 연구 : 듣기와 말하기를 중심으로
- 정은정
-
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vi, 158p., 2004
-
4.
- 晉菴 李天輔 散文 硏究
- 최수완
-
단국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i, 99장, 2024
-
5
-
김창협학파와 진경산수화
-
조남호;
국제평화대학원대학교;
(철학연구,
v.0,
2005,
pp.115-134)
-
6.
- 松江文學의 思想的 背景과 自然觀 硏究 : 漢詩를 中心으로
- 김정민
-
中央大學校, 국내박사,
iv, 212 p., 2008
-
7.
- 이제마 『東醫壽世保元』의 마음론과 四象人 辨別 연구
- 최구원
-
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p171, 2019
-
8.
- 東武 李濟馬의 養生思想에 관한 硏究
- 정병희
-
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, 국내석사,
71p., 2002
-
9.
- 고전소설에 나타난 환상계의 형상화 원리와 의미 : <구운몽>, <전우치전>, <옥루몽>을 중심으로
- 강혜진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ii, 221 p., 2020
-
10.
- 韓國의 王祖說話 硏究
- 허경회
-
全南大學校, 국내박사,
167p, 1987
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