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하늘을 나는 중국 청장열차 탑승기
-
안용모;
;
(철도저널 = Railway journal,
v.13,
2010,
pp.49-64)
-
2
-
식민지라는 서사-차승기, 『비상시의 문/법』, 그린비, 2016.
-
서영인;
충남대학교;
(어문론총,
v.0,
2017,
pp.305-311)
-
3
-
식민주의에 대한 시초적 탐사-차승기, 『식민지/제국의 그라운드 제로, 흥남』, 푸른역사, 2022
-
최은혜;
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;
(상허학보,
v.68,
2023,
pp.681-707)
-
4
-
제국-식민지 체제의 구멍을 응시하는 눈: 차승기의 ⟨비상시의 문/법⟩에 기대어
-
오태영;
동국대학교;
(상허학보,
v.49,
2017,
pp.491-523)
-
5
-
동양적인 것, 조선적인 것, 그리고 『문장』
-
차승기;
;
(한국근대문학연구 = Journal of modern Korean literature,
v.2010,
2010,
pp.351-384)
-
6
-
전시체제기 기술적 이성 비판
-
차승기;
;
(상허학보 =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23,
2008,
pp.13-46)
-
7
-
[논문] '근대의 위기'와 시간-공간 정치학: 교토학파 역사철학자들과 서인식
-
차승기;
;
(한국근대문학연구 = Journal of modern Korean literature,
v.4,
2003,
pp.239-269)
-
8
-
제국의 고도古都, 초월의 기술
-
차승기;
;
(상허학보 =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29,
2010,
pp.81-113)
-
9
-
[특집:1920년대 동인지 문학과 근대성] '폐허'의 시간 - 1920년대 초 동인지 문학의 미적 세계관 형성에 대하여
-
차승기;
;
(상허학보 =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6,
2000,
pp.49-80)
-
10
-
사실, 방법, 질서 - 근대문학에서 과학적 인식의 전회
-
차승기;
;
(韓國文學硏究= Studies in Korean litererature,
v.42,
2012,
pp.7-4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