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원 간섭기 탐라 귀속 문제와 ‘제주 방물’ 진헌
-
박정환;
건국대학교;
(동국사학,
v.0,
2024,
pp.41-85)
-
2
-
明初 朝鮮 貢女 親族의 政治的 成長과 對明外交活動 ― 權永均과 韓確을 中心으로 ―
-
임상훈;
전북대학교;
(명청사연구,
v.0,
2013,
pp.1-38)
-
3
-
조선후기 『列聖御製』의 編刊과 保存 - 1726년 『景宗大王御製添刊時謄錄』을 중심으로 -
-
조계영;
서울대학교;
(서지학연구,
v.0,
2009,
pp.449-489)
-
4
-
조선후기 『列聖御製』의 編刊과 保存 - 1726년 『景宗大王御製添刊時謄錄』을 중심으로
-
조계영;
;
(書誌學硏究= Journal of the institute of bibliography,
v.44,
2009,
pp.449-489)
-
5.
- 조선후기 나전칠기의 기술문화적 특질
- 강연경
-
한국전통문화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115, 2019
-
6
-
蘇頌 後使遼詩 注釋(Ⅰ)
-
류영표;
경성대학교;
(중국학,
v.0,
2010,
pp.145-184)
-
7
-
蘇頌 後使遼詩 注釋(Ⅱ)
-
류영표;
경성대학교;
(중국학,
v.0,
2010,
pp.127-166)
-
8.
- 服飾禁制를 통하여 본 朝鮮初期 衣生活 : 『朝鮮王朝實錄』을 중심으로
- 최규순
-
단국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i, 143p., 2003
-
9.
- 세종대의 여진정벌에 관한 연구
- 장창하
-
韓國學中央硏究院, 국내박사,
x, 245 p., 2006
-
10.
- 19세기 西海岸지역의 鰕해[새우젓] 生産이 食生活에 미친 영향
- 안정윤
-
中央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97 p., 2002