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72건 중 372건 출력
, 1/38 페이지
-
1
-
'되다'와 '지다'의 피동성에 관하여
-
최규수;
부산대학교;
(한글,
v.0,
2005,
pp.101-134)
-
2
-
형용사 ‘지다’의 형성과 역문법화
-
김유범;
고려대학교;
(우리말연구,
v.0,
2006,
pp.123-141)
-
3
-
[V-어+지다], [V-어+하다] 구성과 복합서술어
-
이호승;
충북대학교;
(어문연구,
v.62,
2009,
pp.77-98)
-
4
-
단풍 지다
-
배인숙;
;
(시조시학 = Poetics & Sijo,
v.40,
2011,
pp.228-228)
-
5.
- 독일어 werden과 한국어 지다의 수동 표현에 대한 대조연구
- 김지연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, 74p., 1998
-
6
-
벚꽃 지다
-
이보영;
;
(시조시학 = Poetics & Sijo,
v.37,
2010,
pp.34-34)
-
7
-
벚꽃 지다 외
-
이행숙;
;
(시조시학 = Poetics & Sijo,
v.47,
2013,
pp.57-58)
-
8
-
[V-어+지다], [V-어+하다] 구성과 복합서술어
-
이호승;
충북대학교;
(어문연구,
v.62,
2009,
pp.77-98)
-
9
-
보조동사 '지다'에 대한 고찰
-
박희순;
;
(誠信語文學,
v.1992,
1992,
pp.129-144)
-
10
-
15세기 국어에 쓰인 ‘아 지다’의 문법적 성격
-
나찬연;
경성대학교;
(우리말연구,
v.0,
2016,
pp.85-10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