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‘조선학’을 되돌아보기 위한 괄호들 - 하타다 다카시 편, 주미애 옮김, 『심포지엄 일본과 조선: 제국 일본, 조선을 말하다』(소명출판, 2020) -
-
조은애;
동국대학교 서사문화연구소;
(동방학지,
v.0,
2022,
pp.143-173)
-
2
-
‘조선학’을 되돌아보기 위한 괄호들 - 하타다 다카시 편, 주미애 옮김, 『심포지엄 일본과 조선: 제국 일본, 조선을 말하다』(소명출판, 2020) -
-
조은애;
동국대학교 서사문화연구소;
(동방학지,
v.0,
2022,
pp.143-173)
-
3.
- 가라시마 다케시(辛島驍)의 경성제대시기 中國 現代文學論 연구 : 『조선급만주(朝鮮及滿洲)』 所在 評論을 중심으로
- 주미애
-
성균관대학교, 국내석사,
vi, 190 p., 2018
-
4
-
일본조선연구소의 연대(連帶)의 공명(共鳴) 방식과 일그러진 조선관 -1960년대 일본조선연구소의 연속 심포지엄과 『심포지엄 일본과 조선』을 중심으로-
-
주미애;
성균관대학교;
(동방학지,
v.0,
2022,
pp.103-142)
-
5.
- 『조선급만주(朝鮮及滿洲)』의 문예란 연구 : 재조일본인의 창작소설을 중심으로
- 주미애
-
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233 p., 2025
-
6.
- 자기주도학습전략을 활용한 쓰기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철자쓰기 정확도에 미치는 효과
- 주미애
-
부산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i, 87 장, 2020
-
7
-
자기주도학습전략을 활용한 쓰기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철자쓰기 정확도에 미치는 효과
-
주미애;
박재국;
김은라;
칠원초등학교;
부산대학교;
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;
(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,
v.3,
2021,
pp.23-43)
-
8
-
‘봄을 등진 자’에 대한 필경 노동자 미타 교카의 찰나적 엠파시 —1920년대 『조선급만주』 문예란 소재 미타 교카의 창작 소설을 중심으로 —
-
주미애;
한국연구재단;
(개념과 소통,
v.0,
2023,
pp.215-276)
-
9
-
일본조선연구소의 연대(連帶)의 공명(共鳴) 방식과 일그러진 조선관 -1960년대 일본조선연구소의 연속 심포지엄과 『심포지엄 일본과 조선』을 중심으로-
-
주미애;
성균관대학교;
(동방학지,
v.0,
2022,
pp.103-142)
-
10
-
자기주도학습전략을 활용한 쓰기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철자쓰기 정확도에 미치는 효과
-
주미애;
박재국;
김은라;
칠원초등학교;
부산대학교;
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;
(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,
v.3,
2021,
pp.23-4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