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82건 중 182건 출력
, 1/19 페이지
-
1
-
서평 - 조윤제 저 「한국문학사」
-
구자균;
;
(亞細亞 硏究,
v.7,
1964,
pp.133-137)
-
2
-
조윤제의 사상과 학문
-
조동일;
;
(語文 硏究 : 한국어문교육연구회,
v.24,
1996,
pp.23-25)
-
3.
- 한국문학연구사에 있어서의 조윤제 연구
- 송영준
-
청주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41 p., 1980
-
4
-
1930년대 시조담론 고찰 - 안확과 조윤제의 시가(詩歌) 인식을 중심으로
-
배은희;
;
(時調學論叢 = The Korean essays on Sijo literary science,
v.38,
2013,
pp.49-74)
-
5
-
고관절의 비구순 병변
-
조윤제;
박경준;
;
(대한고관절학회지 = The journal of the Korean Hip Society,
v.17,
2005,
pp.33-40)
-
6
-
1930년대 시조담론 연구 - 안확, 이병기, 조윤제를 중심으로 -
-
배은희;
인천대학교;
(시조학논총,
v.0,
2018,
pp.73-98)
-
7
-
조윤제의 민족사관과 그 한계-민족사관의 개념 정립을 위한 검토-
-
윤성근;
;
(語文學 : 한국어문학회 =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36,
1977,
pp.135-162)
-
8
-
조윤제 초기 시가 연구의 특징과 그 성격
-
한창훈;
전북대학교;
(우리어문연구,
v.0,
2004,
pp.153-168)
-
9
-
도남 조윤제의 조선 시가사 기획— 형식의 역사화, 역사의 형식화 —
-
박슬기;
한림대학교;
(개념과 소통,
v.0,
2017,
pp.39-64)
-
10
-
도남 조윤제의 조선 시가사 기획— 형식의 역사화, 역사의 형식화 —
-
박슬기;
;
(개념과 소통,
v.0,
2017,
pp.39-6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