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601건 중 601건 출력
, 1/61 페이지
-
1
-
전통조경공간(傳統造景空間)에서 나타난 동천(洞天)의 조영(造營) 특성(特性)
-
이혁종;
최기수;
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;
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;
(韓國傳統造景學會誌 =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,
v.28,
2010,
pp.9-22)
-
2
-
함안 무진정의 조영배경 및 공간구조 분석
-
이창훈;
상명대학교;
(남도문화연구,
v.0,
2015,
pp.223-242)
-
3
-
칠원 무기연당의 공간 변천과 조영 특성
-
임한솔;
한동수;
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;
한양대학교 건축학부;
(건축역사연구 :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=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,
v.27,
2018,
pp.29-42)
-
4
-
중국(中國) 전통원림(傳統園林) 공간(空間) 조영(造營) 원리의 현대적 탐구(探究) - 곡강지(曲江池) 유적공원(遺蹟公園)을 중심으로 -
-
위첨첨;
김정문;
전조양;
전북대학교 조경학과 대학원;
전북대학교 조경학과;
중국 허남농업대학교 원림학과;
(韓國傳統造景學會誌 =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,
v.37,
2019,
pp.93-107)
-
5.
- 傳統造景空間에서 나타난 洞天의 造營 特性
- 이혁종
-
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ⅵ, 137 p., 2009
-
6
-
경북·대구지역 재실공간의 조영특성에 관한 연구
-
이정;
순천대학교 생명산업과학대학 조경학전공;
(韓國傳統造景學會誌 =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,
v.26,
2008,
pp.20-28)
-
7.
- 瑞石池園의 造營背景과 空間構成에 關한 硏究
- 김동훈
-
成均館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iv, 71p., 2003
-
8
-
재실공간의 조영특성에 관한 연구 - 호서지역과 호남지역의 입지형태와 공간구성 중심으로
-
이정;
순천대학교;
(남도문화연구,
v.0,
2011,
pp.335-364)
-
9
-
獨樂堂 一廓의 造營과 空間構造에 관한 硏究
-
김석수;
최효승;
;
(大韓建築學會論文集 :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: Planning & design / 計劃系,
v.19,
2003,
pp.199-206)
-
10
-
傳統空間思想에 관한 硏究(2) - 우리나라 地域條件과 結合된 傳統的 空間 造營圖式으로의 變容
-
강병기;
최종현;
임동일;
;
(國土計劃 : 大韓國土·都市計劃學會誌,
v.31,
1996,
pp.9-2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