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917건 중 1,000건 출력
, 1/100 페이지
-
1
-
Joseon philosophy' vs. 'Korea philosophy': Study Characteristics of Joseon Philosophy in North Korea and the Possibility of a Joint Study of the South and North philosophy
-
Park, Min Cheol;
;
(시대와철학 = Epoch and philosophy,
v.30,
2019,
pp.49-88)
-
2
-
‘조선철학’ 대 ‘한국철학’ : ‘북’의 조선철학 연구 특징과 남북철학의 공동연구 가능성
-
박민철;
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;
(시대와 철학,
v.30,
2019,
pp.49-88)
-
3
-
조선후기 기철학의 성격
-
허남진;
;
(韓國文化,
v.11,
1990,
pp.449-468)
-
4
-
기획논문 : 일제강점기 『신천지』에 발표된 안확의 「조선철학사상개관(朝鮮哲學思想槪觀)」에 대한 고찰
-
박홍식;
;
(동북아문화연구 = Journal of north-east asian cultures,
v.16,
2008,
pp.109-129)
-
5
-
조선시대 만인소 운동의 철학적 배경
-
이상호,;
;
(국학연구,
v.38,
2019,
pp.429-458)
-
6
-
조선시대 놀이에 대한 역사철학적 이해
-
장성수;
;
(한국체육학회지.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. 인문·사회과학편,
v.48,
2009,
pp.25-35)
-
7.
- 조선학운동(朝鮮學運動)의 철학적 의의
- 이주현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116 p., 2019
-
8
-
일제강점기 『신천지』에 발표된 안확의 「조선철학사상개관(朝鮮哲學思想槪觀)」에 대한 고찰
-
박홍식;
대구한의대학교;
(동북아 문화연구,
v.1,
2008,
pp.109-129)
-
9
-
The meaning of Donghak and Cheondogyo in the study of the history of Joseon philosophy in North Korea: The metaphor of “Start and End of Modern Philosophy of Joseon”
-
Park, Mincheol;
;
(哲學硏究 : 철학연구회 = Philosophical studies,
v.147,
2024,
pp.41-70)
-
10
-
윤사순 지음, 『조선, 도덕(道德)의 성찰 : 조선 시대 유학의 도덕철학』, 돌베개, 2010
-
신정근;
;
(哲學,
v.104,
2010,
pp.241-24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