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19세기 중엽 수석 문화 연구 -조면호의 「예십일석」을 중심으로-
-
신정수;
한국학중앙연구원;
(한문학논집(漢文學論集),
v.53,
2019,
pp.281-304)
-
2
-
조면호(趙冕鎬)의 조선사(朝鮮詞) 창작과 중국문학 수용 고찰
-
김영미;
한국외국어대학교;
(한국학연구,
v.0,
2021,
pp.93-124)
-
3
-
조면호의 「예석」 연구-사람과 돌의 교감에 대한 일고찰-
-
신정수,;
;
(韓國漢文學硏究 = Journal of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,
v.75,
2019,
pp.223-254)
-
4
-
옥수 조면호의 기몽류 글쓰기와 자아의 탐색
-
양승목;
동국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17,
pp.111-153)
-
5
-
19세기 중후반 서울 문단의 여성 인식 –조면호와 박영보의 경우를 중심으로
-
김용태;
성균관대학교;
(동양한문학연구,
v.55,
2020,
pp.71-98)
-
6
-
임오군란기 한중(韓中) 문인의 교유 양상-조면호(趙冕鎬)?김창희(金昌熙)의 활동을 중심으로-
-
김용태;
부산대학교;
(漢文學報,
v.17,
2007,
pp.499-525)
-
7
-
조면호의 「예석」 연구-사람과 돌의 교감에 대한 일고찰-
-
신정수;
한국학중앙연구원;
(한국한문학연구,
v.0,
2019,
pp.223-254)
-
8
-
19세기 중엽 수석 문화 연구 -조면호의 「예십일석」을 중심으로-
-
신정수;
한국학중앙연구원;
(한문학논집(漢文學論集),
v.53,
2019,
pp.281-304)
-
9
-
조면호(趙冕鎬)의 조선사(朝鮮詞) 창작과 중국문학 수용 고찰
-
김영미;
한국외국어대학교;
(한국학연구,
v.0,
2021,
pp.93-124)
-
10
-
19세기 중후반 서울 문단의 여성 인식 –조면호와 박영보의 경우를 중심으로
-
김용태;
성균관대학교;
(동양한문학연구,
v.55,
2020,
pp.71-9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