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전통의 의미와 가치관 교육의 방향
-
조난심;
;
(한국청소년연구 = Studies on Korean youth,
v.13,
1993,
pp.16-30)
-
2
-
한국 교육의 변화와 도덕·윤리과 교육의 방향
-
조난심;
한국교육과정평가원;
(도덕윤리과교육,
v.0,
2007,
pp.1-22)
-
3
-
창의적 인재 육성을 위한 중등학교 교실수업에 대한 전문가 인식 조사
-
이광우;
조난심;
김현미;
;
(열린교육연구,
v.21,
2013,
pp.1-21)
-
4
-
교육철학의 정체성과 학교교육
-
조난심;
한국교육과정평가원;
(교육철학연구,
v.0,
2004,
pp.169-184)
-
5
-
제7차 도덕과 교육과정의 특징과 개선 방향
-
조난심;
한국교육과정평가원;
(교육과정연구,
v.22,
2004,
pp.1-18)
-
6
-
도덕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 -도덕 교육에 대한 교육철학적 연구 동향
-
조난심;
한국교육과정평가원;
(도덕윤리과교육,
v.0,
2003,
pp.122-146)
-
7
-
한국 교육의 변화와 도덕·윤리과 교육의 방향
-
조난심;
한국교육과정평가원;
(도덕윤리과교육,
v.0,
2007,
pp.1-22)
-
8
-
학교 인성프로그램 평가 방안 연구
-
조난심;
차우규;
한국교육과정평가원;
한국교육과정평가원;
(도덕윤리과교육,
v.0,
2001,
pp.251-273)
-
9
-
창의적 인재 육성을 위한 중등학교 교실수업에 대한 전문가 인식 조사
-
이광우;
조난심;
김현미;
한국교육과정평가원;
한국교육과정평가원;
한국교육과정평가원;
(열린교육연구,
v.21,
2013,
pp.1-21)
-
10.
- 통합적 평가 모형의 접근에 의한 아동의 도덕성 유형 연구
- 임진자
-
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viii, 105p., 199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