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조긍호, 『동아시아 집단주의의 유학사상적 배경』
-
조긍호;
;
(오늘의 동양사상,
v.18,
2008,
pp.178-190)
-
2
-
의상디자인요소가 의복착용자의 인상에 미치는 영향(제1보) -의복 형태와 색채의 영향을 중심으로-
-
이주현;
조긍호;
연세대학교 의류환경학과;
서강대학교 교양과정부 심리학;
(한국의류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,
v.19,
1995,
pp.747-764)
-
3
-
사주적 범부의 암묵적 표상 구조: 성별 고정관념의 비대칭적 점화효과
-
이재호;
조긍호;
오경기;
김미라;
중앙대학교 심리학과;
서강대학교 교양과정부;
고려대학교 심리학과;
고려대학교 심리학과;
(인지과학 =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,
v.12,
2001,
pp.43-54)
-
4
-
순자에 나타난 심리학적 함의(IV): 修養論을 中心으로
-
조긍호;
Sogang University;
(한국심리학회지: 사회 및 성격,
v.,
1998,
pp.9-37)
-
5
-
순자에 나타난 심리학적 함의(Ⅲ): 禮論을 중심으로
-
조긍호;
Sogang University;
(한국심리학회지: 사회 및 성격,
v.,
1997,
pp.1-27)
-
6
-
맹자에 나타난 심리학적 함의(Ⅱ) : 敎育論과 道德實踐論을 中心으로
-
조긍호;
Sogang University;
(한국심리학회지: 사회 및 성격,
v.6,
1991,
pp.73-108)
-
7
-
순자(荀子)에 나타난 심리학적 함의(含義)(Ⅱ): 人性論을 中心으로
-
조긍호;
Sogang University;
(한국심리학회지: 사회 및 성격,
v.9,
1995,
pp.1-25)
-
8
-
성별 특성 단어의 자동적 평가효과 : 일치성 효과와 긍정성 우위 효과를 중심으로
-
오경기;
김미라;
이재호;
조긍호;
고려대학교 행동과학연구소;
고려대학교 행동과학연구소;
중앙대학교 심리학과;
서강대학교 교양과정부;
(인지과학 =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,
v.13,
2002,
pp.55-65)
-
9
-
순자에 나타난 심리학적 함의(Ⅲ): 禮論을 중심으로
-
조긍호;
Sogang University;
(한국심리학회지: 사회 및 성격,
v.11,
1997,
pp.1-27)
-
10
-
순자에 나타난 심리학적 함의(IV): 修養論을 中心으로
-
조긍호;
Sogang University;
(한국심리학회지: 사회 및 성격,
v.12,
1998,
pp.9-3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