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다카야마 조규(高山樗牛) 『미적 생활론(美的生活論)』의 형성
-
표, 세만;
;
(日本語文學= Korean Journal of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,
v.77,
2018,
pp.169-189)
-
2
-
다카야마 조규의 「 미적 생활을 논하다」와 니체사상
-
이와와키 리벨 도요미;
FHWS, Germany;
(니체연구,
v.0,
2022,
pp.81-100)
-
3
-
다카야마 조규의 「 미적 생활을 논하다」와 니체사상
-
이와와키 리벨 도요미;
FHWS, Germany;
(니체연구,
v.0,
2022,
pp.81-100)
-
4
-
다카야마 조규(高山樗牛) 『미적 생활론(美的生活論)』의 형성-쓰보우치 쇼요(坪内逍遙)와의 “역사”논쟁을 중심으로-
-
표세만;
군산대학교;
(日本語文學,
v.1,
2018,
pp.169-189)
-
5.
- 지역사회 정신건강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
- 조규미
-
梨花女子大學校, 국내석사,
67장, 1991
-
6.
- 서정주 시의 병렬법 연구
- 조규미
-
梨化女子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iii, 89p., 1994
-
7
-
清末中韓宗藩關係的政策轉變 ─ 從宗藩關係到宗屬關係
-
張 啟 雄;
대만 중앙연구원;
(국제중국학연구,
v.0,
2009,
pp.251-269)
-
8.
- 19세기 후반 조선의 국제법적 지위에 관한 연구
- 유바다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x, 434 p., 2017
-
9.
- 개항후 대외기구 개편과 거류 일본인 대책
- 정다영
-
연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v, 68 p., 2016
-
10
-
고니시 마스타로의 니체와 톨스토이 수용과 일본 정신사적 의미
-
조성환;
원광대학교;
(니체연구,
v.0,
2022,
pp.49-7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