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생태시의 윤리와 관계의 시학 -메리 올리버의 다른 몸 되기
-
정은귀;
인하대;
(영어영문학 : 한국영어영문학회 = The journal of English language & literature,
v.56,
2010,
pp.25-45)
-
2
-
“상상의 형식 속 역사” 읽기: 조이스 캐롤 오츠의 『그들』과 화해의 공간
-
정은귀;
서울대학교;
(미국학 논집,
v.37,
2005,
pp.205-228)
-
3
-
로버트 하스 시의 생태적 상상력 - 「잠자리 짝짓기」 읽기
-
정은귀;
한국외국어대학교;
(문학과환경,
v.19,
2020,
pp.203-234)
-
4
-
번역의 윤리와 정치성: 문화번역의 관점에서 본 한국의 세계문학 번역사
-
정은귀;
한국외국어대학교;
(탈경계인문학Trans-Humanities,
v.7,
2014,
pp.39-67)
-
5
-
태어나지 않은 몸의 역사 - 루이즈 글릭 초기시와 여성 생태시의 잠재성
-
정은귀;
한국외국어대학교;
(문학과환경,
v.21,
2022,
pp.167-194)
-
6
-
증언과 시의 언어: 뮤리얼 루카이저의『사자(死者)의 서(書)』읽기
-
정은귀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영미문학연구,
v.0,
2014,
pp.67-97)
-
7
-
앨런 긴즈버그의 생태적 상상력: 「해바라기 경전」을 중심으로
-
정은귀;
한국외국어대학교;
(현대영미시연구,
v.22,
2016,
pp.147-180)
-
8
-
소멸의 역사를 딛고 말하기, 국가 다시 만들기 ― 동시대 아메리카 인디언 시 읽기의 문제들
-
정은귀;
인하대학교;
(현대영미시연구,
v.18,
2012,
pp.101-125)
-
9
-
From “The Falling Man” to Girly Man: American Poetry after 9/11 and the Logic of Mourning
-
정은귀;
인하대학교;
(미국학,
v.34,
2011,
pp.63-86)
-
10
-
뒤늦은 증언: 난징 대학살 시편과 미국시의 ‘공간’ 재편
-
정은귀;
한국외국어대학교;
(현대영미시연구,
v.23,
2017,
pp.127-15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