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윌리엄 블레이크(William Blake)의 [아메리카:예언(America: A Prophecy)](1793) 연구
-
정연심;
;
(미술사연구 = Journal of art history,
v.2000,
2000,
pp.175-198)
-
2
-
댄 그레이엄의 비디오와 퍼빌리온 프로젝트(1960년대 중반-1970년대 말) - ‘정보(information)’에서 ‘인-포메이션(in-formation)’으로 변화
-
정연심;
;
(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,
v.34,
2011,
pp.65-93)
-
3
-
리 봉테큐 (Lee Bontecou) : 회화의 조각적 확장
-
정연심;
;
(美術史學 = Art History,
v.23,
2009,
pp.139-169)
-
4
-
아나 멘디에타(Ana Mendieta) - 대지와 신체의 접점(1972-1985)
-
정연심;
;
(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,
v.37,
2012,
pp.263-291)
-
5
-
1920년대 晋州勞動共濟會의 조직과 농민운동의 발전
-
정연심;
;
(釜大史學,
v.21,
1997,
pp.29-74)
-
6
-
페르낭 크노프(Fernand Khnopff)의 작품에 나타난 벨기에 상징주의와 내셔널리즘
-
정연심;
홍익대학교;
(미술이론과 현장 = the Journal of art theory & practice,
v.9,
2010,
pp.171-193)
-
7
-
포스트-미디엄과 포스트프로덕션 :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현대미술의 '동시대성(contemporaneity)'
-
정연심;
홍익대학교;
(미술이론과 현장 = the Journal of art theory & practice,
v.14,
2012,
pp.187-215)
-
8
-
폴리크롬 조각의 논쟁을 통해 살펴본 폴 고갱의 도자 및 목조 조각
-
정연심;
;
(미술사학보 = Reviews on the history,
v.30,
2008,
pp.261-289)
-
9
-
고든 마타-클락의 설치작업에 나타난 국제 상황주의(Situationist International) 정신
-
정연심;
;
(현대미술학 논문집,
v.15,
2011,
pp.269-324)
-
10
-
린다 노클린에 대한 비평적 접근 - 도전과 과제
-
정연심;
;
(현대미술사연구 = Journal of history of modern art,
v.26,
2009,
pp.135-16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