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정수자 연보
-
편집부;
;
(시조시학 = Poetics & Sijo,
v.50,
2014,
pp.141-141)
-
2
-
금강송 - 정수자
-
송해;
;
(시조시학 = Poetics & Sijo,
v.50,
2014,
pp.96-98)
-
3.
- 정수자 시조의 현대성 연구
- 정옥선
-
단국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74 장, 2023
-
4
-
절정의 정신주의와 궁리(窮理)의 언어 ―백이운ㆍ정수자의 시조 세계를 중심으로
-
홍용희;
경희사이버대학교;
(시조학논총,
v.0,
2023,
pp.251-272)
-
5
-
현대 여성 시조의 무의식 재현 방법 연구 ― 정수자·홍성란 시조를 중심으로 ―
-
권성훈;
경기대학교;
(한국시가문화연구,
v.0,
2018,
pp.139-166)
-
6
-
[대표작] 금강송
-
정수자;
;
(시조시학 = Poetics & Sijo,
v.35,
2010,
pp.77-77)
-
7
-
[대표작] 늦저녁
-
정수자;
;
(시조시학 = Poetics & Sijo,
v.35,
2010,
pp.71-71)
-
8
-
장엄한 귀
-
정수자;
;
(시조시학 = Poetics & Sijo,
v.46,
2013,
pp.16-16)
-
9
-
[2013년 발표작] 빨치산을 읽는 밤 외 4편
-
정수자;
;
(시조시학 = Poetics & Sijo,
v.50,
2014,
pp.144-149)
-
10
-
[대표작] 십일월 저녁
-
정수자;
;
(시조시학 = Poetics & Sijo,
v.35,
2010,
pp.76-76)